남자 주인공, 민규와 여자 주인공, 시은은 둘다 예술을 하는 사람이다. 민규는 DJ 그리고 배달업무 종사 그리고 시은는 미술 선생님이시다. 


둘다 예술을 하는 사람으로서 부당한 근로 계약의 문제, 암묵적인 업무 할당 등의 불합리한 노동 문제를 겪고 있다. 


민규는 자신이 겪고 있는 부당한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냉소적인 편이다. 

“가도 안 바뀐 다니까. ”


반면, 시은는 민규가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해 주려고 노력도하고, 자신이 당하고 있는 문제도 해결하려 노력한다. 


마지막에 민규도 시은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서 공연 계약서의 문제를 상사에게 제기하였다. 


둘다 노력하였지만, 결과적으로 둘다 무직이 된다.  


“가도 안 바뀐 다니까” 


노력을 하지만, 노동자의 상황은 오히려 악화 된다.


연인도 잃고 직업도 모두 잃은 민규의 장면이 나오면서 영화는 끝이 난다. 


특히, 미술 선생님의 업무 결과를 상사가 평가하는 장면이 머리에 남는다. 나의 동생도 예술을 하는 사람이다. 예술의 성과를 평가하는 일이 심각하게 주관적이다. 이러한 평가의 주관적인 특징을 넘어서서 일등을 해야지 예체능 업계에서 살아 남는다. 


*해도 소용 없다는 민규의 냉소주의 보다, 시은의 낙관주의가 나는 좋다. 결과를 떠나서 우리에게 언제나 있는 희망을 가져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하는 일은 과학 그리고 연구. 이공계의 문제가 딱딱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것도 그렇지가 않다.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는 합리적인 스토리를 찾아 내야 한다.  또한 그래프도 그림도 이쁘께 그려야 한다. 여기에서 과학 결과를 표시함에 있어서 친절해야 하고 예술성도 들어가기 마련이다. 과학을 한다고 해서 과학만 하는게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실패...


금/토 나누어서 진행함...


다음에는 목요일전까지 반드시 방영 시간을 확인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몽고반점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동생이 있는 주인공. 

아버지의 보살핌이 필요한 동네 어린이. 


주인공은 성인이 되서까지도 동생을 돌보는데 자신의 삶의 많은 부분을 할애 하고 있다. 

한편 주인공은 보살핌이 필요한 어린이를 보면서 자신의 동생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것을 떠올린다. 


=> 아침에 자전거를 타고 출근하면서 어머니와 함께 학교 버스를 기다리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보곤 한다. 그들의 가족도 힘이 들지만 한편으로는 자신들의 피붙이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은 것. 그런 소망이 있다는 것이다.  


2. 덕희는 oo는 있다. 


P를 좋아하는 덕희 

결핍을 채우기 위해 P를 갈구하는 덕희. 


덕희의 결핍은 어릴적 바랍을핀 아버지에게서 있었다. 


=> 누구나 결핍은 있다는 것. 그것을 인정하는데서 출발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