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허삼관 매혈기』는 중국의 한 남자가 피를 팔며 살아간 이야기다. 허삼관은 우연한 기회에 피를 팔아 돈을 얻는다. 매혈의 과정은 ‘잇뿌리가 시리도록’ 처절하지만, 동시에 익살있게 그려져 웃음을 자아낸다. 판소리 마당처럼 이어지는 이야기 형식이 인상적인데, 이는 인생사의 희비극적인 모습을 전달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현대소설처럼 플롯에 입각하여 정확히 이어지지 않고, 대화의 표현도 그러하다. 부인 허옥란이 동네사람들로 지칭되는 관객들을 불러모아 이야기하는 것도 우리의 마당놀이를 연상시킨다.
허삼관은 평범한 민중이다. 지식인도 아니며 올바른 가치관이나 현명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기 어려운 인물이다. 가부장적인 기존 가치관 때문에 타인을 괴롭히고, 스스로도 고통받는다. 다른 이의 아이를 가진 부인을 부정하게 취급하며 그 아이조차 정신적으로 학대하는 그의 어리석은 모습은 때로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작가는 우매한 민중인 허삼관을 통하여 그들에게 이미 체화된 어리석음을 풍자한다. 그러나 작가는 개인의 잘못을 논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과 생명을 우선시하는 인간성을 가진 그들은 악다구니를 써가면서도 어우러져 살아간다. 부인에게 아이를 가지게 한 남자를 살리는 데 아들 일락이를 허락하는 과정에서, 허삼관들의 인성을 엿볼 수 있다. 그렇기에 그들은 서로에게 악다구니를 써가면서도 어우러져 살아간다.
눈 먼 전체주의를 비판하는 부분에서 냉소와 풍자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어 빛을 발한다. 모 주석의 한마디면 세상은 모든 것이 무조건 바뀌어버리며, 이는 새로운 불합리를 낳는다. 그 모순은 허옥란이 사회와 가정에서 비판당하는 부분에서 절정에 이른다. 체제는 바뀌어도 민중들의 삶은 새로이 어려울 뿐이고, 피를 사는 이 혈두만 이전처럼 핏기가 돈다는 부분은 씁쓸하다. 그러나 민초들의 생존력은 시절이 어려울수록 빛을 발하기도 한다. 감시의 눈을 속이고, 사정에 맞추어 식량과 행동량을 줄이고, 급기야는 매혈을 거듭하며 고군분투하는 허삼관 일가의 모습은 웃음을 자아내지만 처연하기 그지없다.
치명적인 매혈을 거치고도 허삼관 일가는 살아남는다. 그러나 스스로를 위한 마지막 시도는 무산된다. 끝내 짐짓 거드름을 피우는 그의 모습은 우리를 웃음짓게 하지만, 웃음의 뒷끝은 씁쓸하다. 젊은 시절을 어리석음과 고난으로 어렵게 보내고, 두 번 돌아볼 틈 없이 인생은 끝나버린다는 것을 생각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만 양심을 지키며 살아가고 애정의 대상을 남기는 것이 사람살이의 희망이자 이유라고 작가는 말하는 듯 하다. 부조리에서 출발하는 세계의 모순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풍자의 길을 택할 수 밖에 없다. 그 씁쓸함을 통해 감동을 전하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