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마의 숲 은행나무 시리즈 N°(노벨라) 8
안보윤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아르's Review

 

ㅡ 아저씨도 내가 어리광을 부리고 있다고 말하고 싶은 거예요?
ㅡ 너는 그냥, 서툰 거겠지. 어린애들의 특권이다. 멍청하고 성급한 건 어린애니까 가끔은 그런 식의 엉뚱하고 어리석은 결론을 내기도 하는 거다. 괜찮겠지. 그 정도는. 난 어설프 서툰 것드리 싫지 않다. 그런 건 반드시 어떤 식으로든 채워지거든. (중략
)
ㅡ 난 멍청하지 않아요
.
ㅡ 그래, 어리지. 그것뿐이다. 그러니 돌아가. 돌아가서 제대로 정어리를 먹는 거다. 머리부터 꼬리까지 남김없이 먹은 뒤에 비리거나 느끼하거나 토할 것 같단 생각이 들면
.
ㅡ 들면? 그땐 어떻게 해요
?
ㅡ 뱉어. 뱉고 입을 행궈. 삶이란 원래 그런 식으로 살아내는 거거든. 정어리를 먹고, 그게 맛이 없으면 뱉고, 그 다음엔 고등어나 고래를 먹는 거다. 그렇게 끝없이 이어지지. –본문

마지막 결론의 이야기를 보면서 나도 모르게 울컥하며 눈가에 눈물이 맺혀 있었다. 의식하지 않고 있었지만 나도 누군가에게 이런 이야기를 듣고 싶었었나 보다. 아직 괜찮다, 앞으로 나아가면 된다, 상처를 받았다는 것으로 스스로를 옥죄일 필요는 없다, 라는 무던한 듯 하지만 모든 것을 알고서는 전해주는 이야기들을 말이다. 아직 정어리의 맛도 모르면서 이 모든 것이 버겁다고 던져버리고 싶은 나에게 정어리를 먼저 먹어보고서 그게 아니면 다른 것을 찾아 나서면 된다고 말하는, 올빼미를 만나고 싶었던 것 같다.

이른바 알마의 숲이라 불리는 기묘한 숲 안에서 노루와 알마, 삼촌과 올빼미의 이야기는 현실의 모습을 닮은 듯 하면서도 다른 그들만의 세상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눈과는 다른 형태의 눈과 안대를 하고 다니는 동물들과 눈이 내리면 다른 세계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사람들과 주인에게 버림 받은 것인지 모를 물건들이 쏟아져 내리는 이 숲은 상처 받은 이들만이 들어올 수 있는 곳이며 그렇기에 이 안에 있는 이들은 어딘가 상처를 받아 아픔을 안고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아픔만을 드러내며 누군가로부터 연민의 눈길을 바라는 것이 아닌 그들 스스로 그저 그 공간 안에 자신의 삶을 위해 살아가고 있다.

틀렸어, 노루. 나는 이 위태로운 삶 자체를 소중히 여기고 있어. 언제 죽어버릴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오히려 생의 순간순간을 더욱 사랑스럽게 치장해주는 거야. 당장 죽을지도 모른다는 절박감이 생의 심지를 더욱 불타오르게 만드는 거라고. 내가 가진 모순은 견디는 삶에 대한 게 아니야. 그렇게 많은 걸 포기하고 선택한 삶인데도 마음껏 정열적으로 살아낼 수 없다는 게 억울한 거지. 감정과잉은 독이니까, 적당히 시큰둥하게 살수밖에 없다고 할까. -본문

요새 말로 하면 시크하며 잔망스럽기 그지 없는 알마는 소년을 노루라고 부른다. 소년이 자신의 생을 마감하려 했던 바람과는 달리 노루 엉덩이 아래 깔려있는 채로 발견된 이후로 소년을 노루라 부르는 알마는 늘 소년의 모든 것에 촌스럽긴을 외치며 핀잔을 주고 있지만 알마 역시 나름의 상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상처를 여느 사람들처럼 드러낼 수도 없다. 그녀가 감정을 드리우는 순간, 그녀의 눈가에는 눈물로 가득해 질것이고 그렇게 되면 그녀의 심장은 그 감정을 감당하지 못하고 멈춰버릴 테니 말이다. 살기 위해서 늘 감정 따위 없이 냉혈한으로 살아야만 하는 알마를 보며 안쓰럽다, 라는 생각이 스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알마는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있다.

ㅡ 무엇을 선택해야 후회하지 않아요?
ㅡ 후회하지 않는 선택 같은 게 있겠냐.(중략
)
ㅡ 네가 뭘 선택하든 후회는 반드시 따라붙어. 발 빠른 놈이거든. 차라리 그놈이랑 정면으로 맞닥뜨려. 실컷 후회하고 속 시원하게 털어버릴 수 있는 쪽을 택하는 거다. –본문

늘 레고만 소년에게 쥐어주고는 더 이상 아무런 말도 없던 남자와 청소년 심리 상담사로서 사회적 명성을 쌓아가고 있지만 정작 자신의 아들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는 여자에게 노루가 다시 돌아갔을지는 모를 일이지만 삼촌과 올빼미의 이야기를 이해했다면 그는 틈을 통해서 다시 그가 있던 세계로 돌아갔을 것이다.

상처받은 이들이 쉬어갈 수 있는 이 알마의 숲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어딘가에 존재하길 바라는 마음이 자꾸 일게 된다. 그리하여 나도 그 알마의 숲에 잠시 들어가 멈춰버린 세계에서 나를 다독이고 오고픈 마음이 든다. 모든 것이 정지되어 있는 그 곳에서 나의 마음만은 회복될 수 있을 이 미지의 장소를 한동안 꽤나 그리워할 것 같다. 그리고 올빼미의 마지막 이야기는 버겁기만 한 오늘을 견디게 해주는 이야기로 깊이 남아 있을 것이다.

아르's 추천목록

칸트의 집 / 최상희

독서 기간 : 2015.06.03~06.05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