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야사록 1 - 실록이 전하지 못하는 놓쳤던 조선사
최범서 지음 / 가람기획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왕조야사록

『조선왕조야사록』은 지난 2003년 『연려실기술』을 토대로 각종 야사를 참고하여 출간한 『야사로 보는 조선의 역사』를 깔끔한 편집과 내용으로 새롭게 구성한 개정판으로 총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은 태조부터 명종까지, 2권은 선조부터 순종까지, 시대를 바꾼 결정적 사건과 인물의 이야기를 다룬 야사를 모았다. 사건과 인물 위주로 엮어 정사에 기록된 사건과 인물이 야사에서는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지 비교해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아르's Review

 

 ​

    

  민간에서 사사로이 기록한 역사란 의미를 지닌 야사는 동일한 역사의 기록임에도 불구하고 정사만을 바라본 것이 대부분이었기에 야사에 담긴 이야기는 그저 정사의 이면에 담긴 시시콜콜한 것들을 담아 놓은 것이라고만 생각했었다. 그러니까 정사는 무언가 검증된 기록이라는 느낌이라면 야사는 개개인이 남겨 놓은 자신들의 기록이라고만 생각했기에 야사 자체에는 별다른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던 찰나 이 책의 소개 글을 읽으며 야사도 읽어봄 직 하구나, 라는 생각에 조심스레 책을 펼쳐보게 되었다.

 태조에서부터 명종까지의 시대 속에 담긴 야사를 들여다 보노라면 그 동안 들어왔던 굵직굵직한 역사 속 사건의 내막에 이러한 일들이 있었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 뿐만 아니라 고려에는 존재했던 야사가 조선 초기에는 폐지 되었다는 것은, 고려를 넘어 조선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연 태조에게 있어서 야사에 남게 될 정당성의 위협이 얼마나 큰 것이었는지를 주목하게 하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그러니까 야사는 정사와 함께 그 존재가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으로 원척석이 남겼다는 야사를 훗날 가문의 멸망이 두려워 후손들이 다 태워버렸다고 하니, 야사를 그저 야사로만 바라볼 수 없게 한다.

 조선을 건국하기 전 이성계가 꾸었다는 꿈에 대한 이야기는 익히 들어왔었으나 명궁으로서의 이성계의 모습은 이 책을 통해서 처음 만나게 되었다. 중국 송나라의 명장 악비의 자손으로 알려진 퉁두란과 의형제가 된 모습을 보노라면 이성계의 호탕한 모습을 절로 느끼게 되는데 명궁으로 둘째가라면 서러웠던 퉁두란이 이성계의 호연한 모습에 매료되어 이지란이라는 이름으로 그의 곁을 계속해서 지켜왔다니, 그들이 어떻게 의형제가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이성계의 진면목이 느껴진다.

 수양은 정난을 일으킨 후 아무리 생각해봐도 김종서의 오른팔 격인 이징옥이 껄끄러웠다. 그리하여 박호문을 함길도 절제사로 임명하여 임지로 보냈다. 이징옥에게는 날벼락이었다.
 
이징옥이 박호문에게 자리를 인계해주고 곰곰이 생각해보니, 조정에 나가봐야 찬밥 신세일 것 같았다. 조정은 이미 수양의 측근들로 포진되어 있고, 김종서의 사람인 자기는 자칫 그들의 마수에 걸려 개죽음을 당할 수도 있다는 판단이 섰다.
 
! 나라고 못할 것 없지. 나대로 북쪽 변장에 제국을 세우자.’ -본문

 수양대군이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하게 다가오는 세조의 뒤에 숨겨져 있던 이징옥의 비화는 그 어디서도 마주한적 없던 이야기라 보는 내내 흥미롭게 다가온다. 세상을 바라보는 눈은 밝았던 이징옥은 자신도 역시 수양과 같이 자신만의 세상을 이룩하고자 하는 꿈을 꾸게 되는데 스스로를 황제로 지칭하며 오국성을 세운 그의 나라는 오래지 않아 무너져 내리는 것을 보면 한단지몽이 바로 이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정사의 굵은 뼈대는 필히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일 게다. 그리고 그 안에 부족한 것들 또 정사가 놓치고 바라보지 못한 것들을 야사로 채워나가면서 역사의 이야기가 더욱 풍성하면서도 깊이 있게, 그러면서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시간들이기에 꽤나 오랜 시간 이 책을 잡고 있었다. 그 뒤에 이어질 숨겨진 야사는 어떤 것들이 있을 지, 다음의 책도 기다려진다 


전체서평보기 : http://blog.yes24.com/document/7980115

 

아르's 추천목록

 

 

 

우리 역사 속에 이런 이야기가?
정사와 야사를 넘나들며 우리가 모르는 37가지 우리 역사 이야기를 시대별로 재미나게 구성했다.
선정 기준은 어디까지나 재미!
재미난 이야기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정도의 이야기광이라는 저자의 말대로, 널리 알려진 이야기들의 배후와 사건들 사이의 틈새를 찾아 헤매다 건져 낸 이야기들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역사’라는 거창한 이름 뒤에서 잊혀지고 덜 주목 받는 소소한 이야기들에 귀 기울이다 보면, 질투에 눈멀고 복수심에 불타고 연정에 휩싸인 주인공들에게 저절로 연민과 공감을 느끼게 된다. 그들도 우리와 다르지 않았음을, 시대만 바뀌었을 뿐 사람 사는 이야기는 다 거기서 거기라는 자조와 공감이다. 역사란 다름 아닌 우리가 살아가고 만들어 가는 이야기임을 이 37가지 이야기들은 말하고 있다.
책 제목이 ‘한국유사’인 것도 역사로 기록된 거창한 역사가 아닌 에피소드로서 이 땅에서 일어난 일들이기 때문이다.

[예스24 제공]

 

 

 

독서 기간 : 2015.03.02~03.05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