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랭 파사르의 주방 - 흙, 햇볕, 래디시, 그리고
크리스토프 블랭 글.그림, 차유진 옮김 / 푸른지식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아르's Review

 

 셰프라는 이름이 어느덧 익숙해진 우리에게, 그들의 손을 거쳐 내어지는 메인 요리는 입 안에서 사르르 녹아 내리는 스테이크를 떠오르기 마련이다. 고기라는 재료가 메인의 자리에 있는 것이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모두에게 왜 메인 요리는 고기의 것인가? 라는 질문과 함께 당당히 메인의 자리에 녹색의 채소를 올리고 있는 알랭 파사르는 20여년 간 미슐랭 별 3개를 유지하고 있는 프랑스의 유명한 셰프이자 혁명가인 그는 수 많은 셰프들에게 영감을 떠오르게 하는 이라고 한다.

 이 책을 통해서 그의 이름을 처음 듣게 된 나로서는 그의 이름만큼이나 그가 떠올린 생각은 생경하면서도 이색적인 느낌이었는데 메뉴에서 붉은 고기를 없앤 그의 요리는 과연 어떻게 채워지게 될지, 과연 그의 시도가 가능한 것인지 호기심을 안고서 하나씩 이야기를 넘기게 된다.

 


 매 요리를 선보이기 전, 그가 만들어 낼 요리에 대한 레시피가 이야기의 도입부에 배치되어 있다. 자몽와 민트가 어우러진 완두콩의 조합은 과연 어떠한 느낌일까, 라는 궁금증을 안고서 그가 알려주는 레시피를 읽어 내려가다 보면 어느 새 침이 고이게 된다.

 



볶음 요리에 있어서 적절한 온도가 가장 중요한 것이라 생각했던 나에게 그는 넉넉한 팬으로 모든 재료들이 충분하게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알려주고 있다. 재료의 느낌을 오롯이 느끼기 위해 웬만한 것을 손으로 해결한다는 그의 손에는 늘 조리용 장갑이 끼워져 있는데 그림이지만 마치 그가 눈 앞에서 요리를 펼치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져들게 된다.

 

 


주방의 최고봉에 있는 셰프인 그는 주방에서 큰 소리 치는 법이 없다고 한다. 다른 요리사들의 실수를 잡아내는데 있어서도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를 잡아내곤 그 실수를 바로잡아 문제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말로써 타이르고 있으며 주방의 분위기를 띄우기 위해 응원의 목소리로 소리를 키우는 경우는 있어도 누군가를 비난하기 위해서 소리지르지 않는다고 하니, 주방의 주인으로서의 그도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늘 새로운 음식에 도전하는 그에게 있어서 무언가를 처음 만드는 그 시간이 두렵다기 보다는 늘 설렘으로 다가오는 듯 하다. 대체 무엇으로부터 음식의 영감을 얻는가에 대한 궁금증에 대해서 그는 색의 조화라는 답을 하고 있다. 음식의 색의 맞추다 보면 자연스레 한 접시의 요리가 탄생된다는 그의 이야기는 과연 그의 머리 속에 그려질 맛의 향연이 어떠할지, 기대되게 한다. 

 

  우리에게는 생소한 비둘기 육즙을 넣은 소스를 만드는 모습은 마치 주방이 아닌 실험실의 한 장면을 보는 느낌이다. 단 한 방울의 육즙이라도 놓치지 않기 위해서 접시에 남아 있는 것까지 모아 만드는 과연 그 소스의 맛은 어떠할지 사뭇 궁금해진다.

고기가 사라진 그의 요리가 과연 얼마나 풍성할 수 있을까, 다소 염려스러운 마음에서 그의 이야기를 따라가는 내내 육류의 부재에 대한 아쉬움보다는 오히려 다채로운 채소의 향연이 얼마나 아름다운지에 대해 배워나가게 된다. 기회가 된다면 그의 요리를 맛보고 싶다지만, 한동안은 그가 남겨준 레시피를 보며 입맛을 다질 것 같다.

 

  

 

 

독서 기간 : 2015.02.20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