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렛 도넛
배정진 엮음, 트래비스 파인 원작 / 열림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1970년대의 당시에는 지금보다도, 아니 어쩌면 지금만큼이나 편견이라는 높은 탑 속에서 하나의 귀만 열어두고서는 나와 다른 이들은 배제해 버리는 삶에 익숙해져 있었나 보다. 당시 검사로서 승승장구하던 폴은 자신의 성공과 주변 이들의 기대 속에서 자신의 본 모습인 성 정체성을 드러낼 수 없었고 노래를 하고 싶지만 생활고에 시달리며 현실과 타협해야 했던 루디는 여장을 한 채 자그마한 바에서 립싱크로 입을 뻥긋하고 있을 뿐이다. 실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이 두 남자는 서로를 마주하는 순간 세상을 등지고서라도 그들은 자신들의 행복을 찾아가고 있다.

 그리고 표지 속의 주인공인 마르코. 단 한 번도 친 엄마인 마리아나에게 따스한 이야기를 들어본 적 없지만 그는 오늘도 엄마를 기다리고 있지만 마리아나는 마르코에게는 관심 따윈 없다. 약물 중독에 빠져있는 그녀에게 있어서 마르코는 자신의 아들이 아닌 그저 남보다도 못한 존재일 뿐인데 그런 그녀에게는 마르코가 좋아하는 초콜릿 도넛을 준다거나 해피엔딩 스토리를 들려준다거나 함께 디스코를 추는 일 따위는 없다. 마리아나는 마약 중독으로 수감되기 때문이다.

 이 심리는 마르코를 위한 겁니다. 지금도 마르코는 환경이 맞지 않는 위탁소에 있고 죽을 때까지 거기에 있어야 할지 모릅니다. 입양할 사람이 없으니까요. 작고 뚱뚱한 지적 장애아를 세상 어떤 사람도 입양하지 않을 겁니다. 우리만 빼고요! 우린 마르코를 진심으로 원하고 마르코도 우리를 사랑합니다. 우리는 마르코를 정성을 다해 좋은 사람으로 키울 겁니다. 그 아이를 위해서라면 최고의 양육환경을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래도 부족합니까? 부모로서의 자격이 이걸로 부족하다는 건가요? –본문 

  

 평범하지 않은 이들이 꿈꾸던 평범한 하루의 일상은 그 당시의 그들을 둘러쌓고 있던 평범하다고 주장하는 이들에 의해서 산산조각이 나고 만다. 폴과 루디가 마르코를 돌보기 적당하지 않은 사람들이라 생각했기에 그들을 함께하지 못하게 했다면, 최소한 마르코가 그들과 함께 있을 때 보다는 안락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았을까.

 옳고 그름이라는 흑백논리 속에 완벽하게 배제되어 버린 이들의 행복과 인권 유린은 대체 어디서 보상을 받아야 하는 것일까. 1970년대의 모습이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그 흔적이 드리워져 있는 현재의 이 곳에서는 해피엔딩을 머금은 마르코만이 존재하길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아르's 추천목록

 

비욘드 블랙 / 김헌식저

 

 

독서 기간 : 2014.11.15~11.16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