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꿈결 클래식 2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백정국 옮김, 김정진 그림 / 꿈결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라는 이 문장은 햄릿을 읽었는지의 여부를 떠나 많은 이들이 익히 알고 있는 문장일 것이다. 나 역시도 중학생 때인가 이 글을 알게 되었는데, 비록 그 시작은 유행가 노래 속의 가사에서였지만 그 때도 대체 죽느냐, 사느냐의 기로에 서 있는 그 문제란 무엇일까? 라는 궁금증을 가졌다가 뒤돌아 서면 잊어버리고서는 거즌 이십 여 년의 시간이 지나서 그 실체를 확인하게 되었다.

어느 날 갑자기 모든 것이 뒤틀려 버렸다. 아버지의 죽음을 목도하고 아버지의 동생이었던 클로디어스가 왕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물론 햄릿의 어머니인 거트루드와 결혼을 함으로서 햄릿은 아버지의 죽음은 물론 어머니의 변절과 아버지의 동생이었던 클로디어스를 아버지라 불러야 하는 기막힌 상황에 처하게 된다.

 우리네 역사에 있어서도 왕의 자리를 찬탈하기 위한 수 많은 계략들이 있었으나 언제나 의 자리에 오른 그들의 입장을 조명한 이야기를 들어왔더라면 이 이야기는 그 엄청난 모략의 중심에 있으면서도 피해자일 수 밖에 없는 햄릿을 내세워 한 인간으로서의 고뇌와 그가 이겨내야 하는 시련을 고스란히 들려주고 있다.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다. 변덕스런 운명이 쏘아 대는 돌덩이와 화살을 맞아야 하나, 아니면 고난의 파도에 맞서 무기를 들고 대항하다 끝장을 내야 하나.
 
어느 쪽이 더 고결한가, 죽는 건ㅡ잠드는 것, 그뿐이다. 잠 한 숨으로 육신이 상속받은 고뇌와 피할 길 없는 수천 가지의 불화를 마감한다 한다면, 그건 애써 간구해야 할 귀결이다. 죽는 건, 잠드는 것. 잠들면, 아마도 꿈을 꾸겠지ㅡ아, 거슬린다
.
 
이 뒤엉킨 삶의 허물을 떨쳐 냈을 때 죽음이란 잠 속으로 어떤 꿈이 찾아올지 생각하니 멈출 수 밖에 없다ㅡ 불행한 삶일망정 그토록 질질 끄는 것도 그러한 까닭이다. –본문

덴마크의 왕자로서 유복한 삶을 누리며 그가 사랑하는 오필리어와 함께 아름다운 날들을 맞이하고자 바랐을 그의 염원은 아버지의 죽음 이후로 모든 것이 적막 속에 빠져들고 만다. 이제는 아버지라 불러야 하는 클로디어스는 햄릿을 멀리 떠나 보내는 것은 물론, 그를 죽음의 구렁텅이로 내몰고 있었으며 그의 어머니인 거트루드는 자신의 남편의 죽음에 슬퍼하는 아들보다도 그 슬픔을 보며 불편을 느끼는 클로디어스를 보며 햄릿을 다그치고 있다. 햄릿에게 사랑은 영원 고결한 것이 아닌 쉬이 변모할 수 있는 수치스러움이었으며 그 누구도 믿을 수 없던 그는 결국 폴로니어스를 죽음으로 내몰게 되고 이로 인해 오필리아를 잃는 것은 물론, 레어티스와 더 이상 어찌할 수 없는 원수로 변모하게 된다.

 마지막 장을 넘기는 순간까지도 긴장감에 책에서 손에 놓을 수 없는 이 이야기를 보며 인간의 비뚤어진 욕망이 퍼져나가 결국은 비극으로 다다르는 모습을 마주하게 된다. 그저 그들이 처음 놓여졌던 그 자리에 만족하고 욕망이 이끄는 행동을 실천하지 않았더라면 지금 그들은 모두 웃고 있을까. 벼랑 끝에 몰려 있던 그들이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들을 한 것인가에서부터 그 선택의 결말이 결국 이렇게 끝나버렸다는 것에서 애잔한 마음이 맴도는 소설이었다. 과연 내가 햄릿이었다면, 나는 어떠한 행보를 걷게 될지, 내 스스로에게 많은 질문을 던져보게 된다.

 

 

 

 

 

아르's 추천목록

 


 

오셀로 / 윌리엄 셰익스피어저

 


 

 

독서 기간 : 2014.10.10~10.13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