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석 지음 / 네오픽션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아르's Review

 

 

       

영화 친구를 아직까지도 보지 않긴 했다만, 아마도 그 영화를 봤다면 이 소설 속의 이야기가 조금 덜 낯설었을 것 같다.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이야기로는 친구였던 주인공들이 나중에 반대 세력인 조직에서 마주했다는 내용으로 알고 있으니 말이다.

 유명한 웹툰을 소설화했다는 이 <> 역시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기는 하나 그 수위는 가히 어느 영화 못지 않는 느와르적인 느낌이 난다. 남자들의 심장을 뒤흔들었다던 이 웹툰의 이름조차도 낯설어 대체 통이 뭐지?’라고 고민하던 나에게 싸움을 잘하는 주먹짱을 의미하는 것임을 친절히 알려주는 이 책을 읽어 내려가면서 설마 정말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건 아니겠지? 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예전에 보았던 뉴스에서 소위 일진이라 불리는 학생들을 조직폭력배가 뒤를 봐주고 있다는 뉴스를 접한 기억이 나면서 점점 간담이 서늘해진다.

 남자들의 어두운 세계는 무엇보다도 주먹으로 통하게 있었는데 부산의 절대적인 신과 같은 위치에 있던 이정우가 서울로 전학을 오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하게 된다.

나는 부산에서 통이었다. 그렇다고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아이들에게서 돈을 뺏는다거나 반 아이를 왕따시키는 짓은 하지 않았다. 나는 그저 교실 맨 뒷줄 창가에 앉아 아이들을 통제했다.
싸움이 났을 때 중재를 하거나 아이들이 시끄러울 때 교실 안을 만드는 것 따위가 나의 일이었다.
그것은 생각보다 재미없는 일이었지만 감히 그 누구도 내게 반항하지 않아서 크게 불편하지는 않았다. 그렇다. 아이들은 알고 있었던 것이다. 내겐 친구가 많다는 것을. 그리고 내가 누구에게도 맞지 않는다는 것을.
나는 절대 법이었다. 통이었던 것이다. –본문

남학교의 풍경에 대해 도무지 알 수가 없는 나로서는 누군가가 새로이 전학을 오게 되면 그들 나름대로의 신고식이 있나 보다. 동물의 사회에서도 새로 들어온 이에 대한 서열 확정을 위해서 싸움을 벌이듯 새로운 학교에 전학을 온 이정우에게도 그러한 일들이 일어나게 되는데 처음엔 태한에서 시작된 싸움은 윤정현으로 번지게 되고 교실에서 옥상을 넘고 1학년들간의 싸움에서 3학년의 싸움으로 번져가면서 조용히 학기를 시작하려 했던 정우의 생각과는 반대로 일은 점점 커져만 간다.

그렇게 시작된 싸움은 칼마저도 등장하게 되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둘러 쌓여 있던 정우를 정현이 도와주게 되면서 그 곳에서의 싸움은 마무리되는 듯 했지만 이 싸움은 서울을 넘어 다시 부산의 친구들마저도 불러 들이게 하는 커다란 싸움으로 번져나가게 된다.

너희들은 미운 시기야. 이건 시기란다. 누구나 그런 때가 있지. 너희들은 개성이 강해서 조금 눈에 잘 띄는 것뿐이야. 이 시기만 지혜롭게 넘기면 너희들은 아주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어 본문

 언제나 주인공은 그렇듯 정우는 전학 온지 얼마 되지 않아 1학년을 평정하게 되지만 그 이후 학교 전체를 평정하기 위해서 손을 잡은 인범을 통해서 조직과의 조우를 마주하게 되는데 점점 커져가는 스케일 속에서 죽어 가는 사람들이 하나 둘 등장하게 되면서 대체 이야기의 끝이 어디로 갈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일 즈음 그 주변을 맴돌던 선생님은 물론 자신의 생각의 변화로 인해 다시금 학생의 모습으로 돌아오게 된다.

 먼 길을 돌아 다시 이 자리에 오기까지 정우가 걸어와야 했던 이야기들은 두려우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왜 이토록 멀리 돌아와야만 했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들곤 한다. 소설 속의 인물이기는 하지만 실존하는 정우가 주변의 그를 기다리는 많은 이들이 응원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서는 자신이 있어야 할 곳을 지킬 수 있는 아이가 되길 바라본다.

  

아르's 추천목록

 

미치도록 가렵다 / 김선영저


 

독서 기간 : 2014.07.20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