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치도록 가렵다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44
김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처음에 이 소설의 제목과 표지를 보면서 왠지 내 몸도 가려워지는 듯한 느낌이었다. 팔이 닿을 듯 닿지 않는 그 가려운 부분을 시원히 긁어내려는 이들의 몸짓을 보는 것만으로도 당장이라고 손을 뻗어 그들의 등을 긁어주고 싶을 정도였다. 그렇게 이 책 안의 이야기에 호기심과 무언가 이들을 위한 일을 해줘야겠다는 생각으로 한 페이지 한 페이지를 넘기면 넘길수록 감당하기 힘든 아이들의 모습이 다가왔으며 너무도 강한 그 아이들을 모습을 보면서 주위만 뱅뱅 돌고 있을 뿐 고개 숙이고 조용히 지나가는 용기 없는 어른 중 하나의 모습을 한 채, 거리를 유지하며 그들의 이야기를 마주하고 있었다. 

 엄마는 새로 시작하자면서 마지막으로 전학을 가자고 했어요. 집을 내놨는데, 아이 씨, 집 보러 온 아줌마가 저를 괴물 보듯 하는 거예요. 무슨 사스나 에이즈 환자 보듯 기겁을 하며 도망가는 거예요. 그때 알았죠. 이제까지 내가 어떤 물건이었는지. –본문

수인은 고개를 수그리며 말했다. 본질은 자취도 없고, 껍데기만 가지고 애기가 겉돌았다. 정작 도서관을 왜 옮기는지에 대해서는 말이 나오지 않았다. 형식과 절차가 더 중요했다. 그렇지 않으면 어떤 좋은 제안이라도 쓰레기다. 그것이 조직의 습성이며 힘이다. –본문

그렇게 초반에 이 책을 덮어버렸더라면 나는 강도범에 대해서 그의 이름처럼 문제아로만 인지하고 말았을 것이다. 모든 것들에는 다 이유가 있고 그렇게 흘러가기 위한 근본적인 문제들이 있을지 언대 나는 여전히 결과에 비춰진 모습들로만 그들을 바라보고 있었고 분명 나 역시도 학창시절, 그런 고리타분한 어른들을 보며 답답해하며 나중에 커서 절대 이런 어른이 되지 말아야지, 라며 다짐했었는데 어느 새 영락없는 그 빡빡한 어른이 되어 버린 나를 바라보게 된다.

전학생으로 형설중학교에 온 강도범은 세호와 해명, 일명 해먹과 함께 도서관에서 뛰쳐나가는 순간 이 학교의 도서관 사서로 부임받은 수인과 마주하게 된다. 해먹의 가방에서 떨어지는 망치와 함께 어줍잖은 첫만남을 한 이들은 독서회 모임이라는 이름하게 다시 얼굴을 마주하게 된다.

 이전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켜 전학을 온 도범이에게는 보이지 않는 꼬리표가 어디든 자리하고 있다. 소위 논다는 아이들에게 있어 도범은 과연 어느 정도의 급이 되는지가 궁금한 상태였고 선생님들 사이에서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로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인 꿔다 놓은 보리 자루나 마찬가지였다. 게다가 이 학교에는 도범이 전 학교에서 쫓겨나듯 전학을 해야만 했던 주범인 양대호마저 이 학교에 있으니 전학생으로의 생활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을 예고하고 있다.

 도범과 마찬가지로 이 학교로 배정을 받은 수인 역시 수산나고에서 제법 이름을 날리며 아이들과 잘 지내던 사서 선생님이었다. 형설중학교로 배정을 받았다는 그녀를 보면서 혀를 차던 이들은 물론, 문제아 학생들만 잔뜩 모아놓은 학교라며 안타까운 눈으로 바라본 그녀의 앞에 드리운 현실은 마치 귀신이 나타날 것만 같은 도서관이 더 심란하게 다가왔다.

 중요한 건 자신이 자신을 내치지 않으면 되는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면 밖에서 아무리 찧고 까불어도 끄떡없어요. 밖이 뭐가 중요해요. 안이 중요한 거지. 스스로가 채워지지 않았는데 밖에서 아무리 채우려고 해보세요. 채워지나. 오히려 불행하고 불안한 자신만 발견할 뿐이죠. 그런 어른들이 희곤이 같은 아이들의 싹을 죽여버리는 거예요. 희곤이는 정말 감수성이 풍부한 아이였는데, 인간의 소리보다는 영적인 텔레파시에 더 예민한 아이였어요. 난 아직도 그 아이 그림을 기억해요. –본문

 모두다 하나씩 그들 나름의 문제를 안고 있지만 그것들을 표출하는 방식은 제 멋대로이다. 자신을 보면 득달같이 달려드는 아이들과 문제아는 변하지 않는다는 어른들의 시선을 향해 도범이 할 수 있는 것은 또 다시 주먹을 드러내는 것이었고, 말을 하지 못하는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난 해명은 수화보다는 말로 이기려 하는 아이들 때문에 매번 놀림과 아이들의 폭력 앞에서도 꿋꿋이 참고 있었으며 세호는 그의 모든 이야기를 밖으로 끄집어 내어 표출하고 있었다.

 책이 말을 걸어오는 것 같다며 책에 푹 빠진 이담은 수인과 같이 시골에서 전학을 왔고 선생님들이 먼저 벽처럼 이야기하는 시골 도시의 갭에 주눅이 들어 조용한 도서관에서 스스로의 배움을 깨닫고 있었다. 매번 삐딱하게 왜요?’라는 질문을 던지는 준표도 자신의 이름을 알아주자 어느 새 조용히 말을 따라오는 것도 그렇고 전교 1등을 자처했었지만 한 문제 한 문제에 사시나무 떨 듯 두려움에 떨던 희곤이는 스스로의 문을 닫아버린 상태다.

 그 나름의 아픔과 상처를 가지고 있는 이들은 서로에 대해 조금씩 들여다 보며 그 마음들을 헤아리게 된다. 그러니까 인간은 매 순간 자신이 처음 마주하는 순간들에 대해 성장통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그것은 이미 다섯 아이를 장성하게 키워 낸 수인의 어머니에게도 비켜갈 수 없는 것들이었다.

어디에서 어디로 넘어가는 것이 쉬운 법이 아녀. 다 그만한 대가를 치러야 갈 수 있는겨. 애들도똑같아. 제일 볼품없는 중닭이 니가 지금 데리고 있는 애들일 겨. 병아리도 아니니께 봐주지도 않지, 그렇다고 폼 나는 장닭도 아니어서 대접도 못 받을 거고. 뭘 해도 어중간혀. 딱 지금 니가 가르치는 학상들 아니겄냐. –본문

 우리가 기억하는 사람의 틀은 늘 매한가지인가 보다. 학생은 공부 잘하는 모범생 이어야만 하고 직장인들은 언제 어디서나 능력을 인정받는 슈퍼맨이어야만 하듯 그 안에는 무수한 사람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하나의 모습만을 그리는 이 안에서 그들은 가려움증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그런 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애잔해지는 것이 눈물이 그렁 맺히기도 한다.

 ​불안하고 어디로 향해야 할지 몰랐기에 방황할 수 밖에 없던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의 방황도 조금 다 잡아 지는 듯한 느낌이다. 초반의 강한 느낌에 외면했다면 절대 알 수 없었을 이 이야기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성장통의 완화제를 마주하길 바라는 바이다.

 

아르's 추천목록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 이경혜저


 

독서 기간 : 2014.07.14~07.15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