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동화를 읽는다면 - 우리 시대 탐서가들의 세계 명작 다시 읽기
고민정 외 지음 / 반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동화에 대한 환상을 안고 있으면서도 가끔은 그것을 들고 다니면서 보기에는 이미 너무 나이가 많은, 명백한 어른이 되었다는 점에서 동화에 대해서 일부러 외면 한적도 있다. 책을 읽는 다는 행위 자체에 대해서 누군가에게 보여진다는 점까지 신경을 써가면서 책을 읽어야 하는가, 에 대한 쓸데 없는 고민에 대한 별 걱정 다한다, 라며 혼자 위안을 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아직까지도 나는 동화를 당당히 들고 다니면서 읽기가 쉽지 많은 않았다.

타인의 눈에 비친 내 모습도 모습이겠지만 그보다도 아직까지 동화를 읽고 싶다는 바람이 그 외견에 보이는 것을 넘어서지 못했었구나, 라고 깨닫게 된 것이 바로 이 책을 읽고 나서였는데 목차를 보면서 이미 읽은 것들도 있기는 하지만 처음 보는 책들도 있고, 알고는 있으나 아직 읽지 않은 책들도 종종 보였다. 개인적으로는 처음 보는 동화책에 대한 호기심에 그 부분들을 먼저 읽은 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나머지 부분들을 읽어 내려갔다.

<보리와 임금님>이라는 동화책은 사실 이 책을 보기 전까지 세상에 존재하는지도 몰랐던 동화책이다. 물론 그 안에는 <보리와 임금님>이외의 다른 단편 동화들이 함께 수록되어 있는데 이러한 동화가 있는 줄도 몰랐던 나로서는 다른 단편들이라고 읽어봤을 리가 없었다. 동화가 가지는 행복에 대한 당위성과 같은 요소들이 담겨 있다기 보다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담긴 이야기들을 보면서 동화라기 보다는 오히려 어른들의 세상이 담겨 있는 듯한 이 책은 왜 그 동안 읽어보지 못했는가에 대한 회한이 들 정도로 당장이라고 읽어보고 싶은 내용들이었다.

난느 이집트를 다 가지고 있다.”라고 호령하자 윌리는그건 너무 많아요라고 고개를 젓는다. 파라오가 분노한다. “너무 많다는 말이 어디 있느냐?” 그는 윌리 아버지의 황금색 보리밭을 불살라버린다. 그러나 오래가는 쪽은 왕의 수명이 아니라 월리의 어벙한 미소다. (중략)
많다’, ‘크다’, ‘높다’, ‘맛있다 급기야 좋다까지 어린 내가 긍정적인 개념으로 분류해놓았던 세상의 모든 형용사는 너무를 앞에 붙임으로써 풍요하고 복된 이미지의 뒷면을 드러냈다. -본문 


<
일곱 번째 공주>역시도 아이 앞에서 어른들의 특권의식에 젖어 있는 왕의 모습뿐만 아니라 그녀들 중 한 명과 결혼을 꿈꾸는 왕자는 계속해서 그들 중 그의 아내가 정해질 때까지 하염없이 기다리지만 실제의 왕자는 그 곳에 있는 왕자가 아닌 시종이다. 반전드라마라면 내가 바로 왕자였소라며 드러낼 법도 하지만 그녀의 이야기 속에서는 이러한 반전은 없다. 그저 자연스레 흘러나갈 뿐이다.

 특히나 이 책 속에 담긴 <갈매기의 꿈>은 이전에도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라 더욱 관심이 갔는데 갈매기 조나단의 이야기는 그저 하나의 동화가 아니라 우리의 씁쓸한 모습을 고스란히 담아 놓은 듯 해서 어른으로서의 지금 모습들들 되돌아보게 한다.

 갈매기 무리도 조나단의 일탈에 대해 강력하게 우려를 표한다. 그들도 부모와 같은 마음으로 조나단을 걱정하는 것일까? 조나단을 위해서? 천만의 말씀이다. 그들은 갈매기 사회가 틀어쥐고 있는 기존의 질서가 위태로워질까 봐 걱정한다. 갈매기들을 조나단때문에 기존 질서가, 그들이 갖고 있는 기득권이 깨질까 두려움이 앞선다. 어느 사회든 기성세대는 변화를 반기지 않는다. -본문

 갈매기족의 존엄성을 파괴했다는 이유로 무리로부터 벗어나게 된 조나단을 보노라면 과연 그가 갈매기족에 피해를 입힌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기존의 그들의 틀을 깨트리려는 그가 기성세대는 물론 갈매기족에게는 이전에는 마주할 수 없는 두려움이 되었을 것이다.

 이전에 읽어보지 못했던 책들을 이 책을 보고서 일단 2권을 주문해 놓은 상태이다. 아이들을 위한 동화 속에는 어른들의 세상이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다. 그 속에서 바라본 어른들의 세계까 과연 아이들을 위해 좋은 세상인지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하는 어른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란 생각이 든다

 

아르's 추천목록

 

『어린 왕자와 길을 걷다』 / 오소희저 


 

 

독서 기간 : 2014.06.01~06.03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