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삶 1
하 진 지음, 왕은철 옮김 / 시공사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이 땅에 태어난 것이 축복이겠지만 내가 가진 것보다 가지지 못한 것들에 대한 욕망이 더 크게 다가오곤 한다. 이미 익숙해진 것들 보다는 새로운 환경 속의 삶을 갈망하곤 하는데 그래서 인지 어렸을 때 나는 다른 나라로의 이민을 그려보기도 했었다. 물론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에 대한 현실적인 고민보다는 그저 이곳을 떠나고 싶다는 바람이 우선이었고 그런 점에 있어서 나는 얼마나 허황된 꿈을 꾸고 있었는지에 대해서 이 하진 작가가 나에게 들려주고 있었다.

1989년 톈안먼 사건이 발생하자 난은 자신의 삶의 터전이었던 중국을 떠날 것을 고민하고 있다. 물론 그 역시도 모든 이들이 가지고 있었던 '아메리칸 드림'을 알고 떠났겠지만 그에게 도래한 현실은 녹록치 않은 것들이었다.

현재의 미국은 그야말로 다양한 인종이 함께하고 있는 나라이다. 아메리카 드림의 보고이자 모든 이들에게 기회의 땅이 될 수 있었던 그 곳에서 수 많은 인종 중에 하나였던 중국인들이 그들만의 차이나 타운을 만들어 내고 미국 내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는 하지만 난과 핑핑 부부가 미국에 갔을 때만 해도 그곳은 희망이 가득한 곳이 아니었다.

그들의 가족이 모두 미국에서 시작하고 싶었으나 당시의 중국 정부는 그들의 이전에 통제를 가했는데 그것은 바로 그들의 아이인 타오타오를 붙잡아 둔 것이다. 오랜 시간이 흘러 어렵사리 마주한 그들이 다시금 원래의 하나의 모습으로 자리를 하기까지는 꽤나 시간이 필요했으니,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한 가족이 자리를 잡기까지의 그 일련의 과정은 넘어야 할 것들이 하나둘이 아니였다.

특히나 난의 마음 속에는 그의 옛 연인이었던 베이나가 자리하고 있었고 그것을 알고 있는 그의 부인 핑핑은 미국에서의 생활이 순간순간 아스라했을지도 모른다. 대체 무엇을 위해서 그들이 이 곳에 와있는지에 대한 고민보다도 일단은 오늘을 살아야 했으니, 그들이 정착해나가는 하루하루의 기록들은 내가 생각해왔던 이민에 대한 그림과는 판이하게 다른 것들이기에, 아련한 마음마저 들게 된다.

그는 지금 하는 일을 계쏙 할 수 있으면 싶었다. 몇 년만 더 습작 기간을 가졌으면 싶었다. 그 사이에 많은 책을 읽고 시작에 필요한 기술 외에도 문학에 관한 더 많은 걸 배우고 싶었다. 하지만 그건 환상일 뿐이었다. 그는 다른 일을 곧 찾아야 했다. 그는 워터타운에 있는 스테이크 전문점에 가서 지배인에게 중국 식당에서 서빙을 한 적이 있다고 했다. -본문

중국과는 다른 미국의 무언가 자유로운 움직임들 안에 있었기에 그들은 이전과는 다른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는, 지금은 당장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것들은 할 수 없지만 언젠가는 그들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안고서 난은 보조 요리사로 취업을 하게 되면서 조지아 주의 식당 자리가 났다는 것을 보면서 이것이 자신들의 삶을 바꾸어 줄 수 있는 동아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에 그곳을 떠나게 된다.

그렇게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서 그들은 점차 자신들의 공간을 만들어 가게 되고 어렸던 타오타오에게도 사랑하는 누군가를 마주하게 되는 시간이 흐르게 된다.

난과 핑핑 부부를 보면 타오타오를 직접 가르칠 만큼 그들 나름대로의 지식도 가지고 있었던 이들이기는 했지만 미국에서 그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은 거즌 3D업종의 것이었다. 아메리카 드림 혹은 자유의 땅이었던 미국은 그야말로 자본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들이기에 그 틀을 뛰어 넘기까지는 쉽지 않은 것들이었다.

시간이 지나 난은 평생 마음에 담고 있었던 베이나를 다시 만나게 되지만 그 찰나의 순간은 오랜 시간을 기다려왔던 그의 마음에 예상치 못한 허무함을 전해주고 있다. 아마도 그가 힘들었던 그 순간 마음 속에서는 베이나를 그려왔겠지만 실제 그의 곁에 있었던 것은 핑핑이라는 것을 자신도 모르게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집에 도착하자, 핑핑이 주저앉으며 처량하게 울기 시작했다. 그녀는 아이를 잃은 것이 자기 탓이라고 했다. 그녀가 넋두리를 계속 늘어놓았다. "아이가 나를 위해 자기를 희생한 거야. 내가 저를 낳으면 살 수 없을 것 같으니 내 생명을 위험하게 만들고 싶지 않았던 거라고." 그녀는 자책을 하면서 엉엉 울었다. -본문

중국에 대한 체제에 반대하며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온 그들이 실제 그 자유를 온몸으로 만끽하기 위해서는 20여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달콤한 자유는 어디에도 없는 듯 하다. 자리를 잡아 가는 것 같았지만 의료보험이 없기에 실질적으로 도래하는 문제들을 코 앞에서 마주해야만 했던 나로서는 이 책의 이야기가 너무도 현실적으로 다가오게 된다. 자유를 꿈꾼다는 것이 얼마나 많은 것들을 요구하는 것인지, 새삼 깨닫게 해준 책이었다.

아르's 추천목록

영원한 이방인 / 이창래저


독서 기간 : 2014.05.31~06.06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