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신문을 펼치지 않아도 매일 뉴스에 흘러나오던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은 어찌보면 미국이라는 타국의 일임에도 불구하고 전세계가 그야말로 휘청하게 된 어마어마한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그저 한 국가의 과도한 신용 창출로 인해 부동산 버블로 붕괴된 이 사태는 말미암아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으로 미국발 금융위기를 시작으로 유럽 및 아시아의 경제에도 연이어 경제 타격을 입히게 되었으며 그로인해 현재까지도 전 세계는 금융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안간힘을 쓰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중산층의 몰락으로 인해 이전에는 없었던 수 많은 푸어들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나게 되었고 그렇게 수많은 이들을 푸어로 몰고간 그 근본적인 위기에 대해서 저자는 '인플레이션'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 책의 초입에도 소개하고 있는 강대국씨의 이야기를 보노라면 나름대로 충분한 벌이를 하고 있는 듯 하는 회사원인 그는 어느 덧 자신이 버는 것 이상의 소비가 계속되게 되고 그러한 소비를 충당하기 위해 은행의 대출이 이어지고 있었으며 은행의 충실한 고객이었던 그에게 어느 날 은행을 빚 독촉을 하고 있었다. 이 암담한 상황을 어떻게 타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현재 우리가 풀어야 할 난제인 것이다.
통화 완화 정책, 혹은 유동성 공급 정책은 단기간의 모르핀 효과만 가져올 뿐 근본적인 치유책이 아니다. 몸은 병들어 가고 있는데 나중 일은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현재의 아픔을 참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모르핀 중독이 무서운 이유는 점차 자극에 둔감하게 되어 나중으로 갈수록 더 많은 모르핀 투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문
부족한 돈을 메우기 위해서 그만큼의 돈을 찍어내는 이른바 양적완화를 통해서 이 문제에 대해서 풀어가려고는 하고 있으나 급격하게 늘어난 유동성을 환율의 급락이라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시켰으며 잠시 동안의 유동성이 좋아져 경제가 회복되어 보이는 것은 그야말로 단기적인 효능일 뿐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양적완화가 가져오는 문제들에 대해 마주하게 되면 그것이 바로 인플레이션이며 이러한 인플레이션과 함께 각국들이 마주하게 된 환율 전쟁의 현실이 어떠한 양상으로 치닫고 있는지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이른바 기축통화인 달러의 붕괴는 전 세계적으로 불안을 양상하고 있으며 엄청난 외화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은 달러의 가치 하락은 국제 정서의 미세한 지진이 끊이지 않고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렇게 달러가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어떠한 자산을 보유해야 하는 것일까.
돈의 역할을 하려면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는 것은 물론이고 그 양이 적당히 많지도 적지도 않아야 하는데 그 기준에 맞는 금속이 금과 은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
수 천년전부터 사용해 왔던 금과 은으로 기축통화를 대신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주장과 함께 저자는 인플레이션이 조정되는 시점에 폭락한 채권이나 부동산의 구매로 이전의 보유하고 있던 부를 최대한 보유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더 이상의 붕괴는 없길 바라면서도 수 많은 이들이 그러한 미래가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는 지금 이 책의 내용들을 간과할 수 없을 듯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