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개의 키워드로 읽는 북유럽 이야기 - 바이킹에서 이케아까지 50개의 키워드로 읽는 시리즈
김민주 지음 / 미래의창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아르's Review

 

 

 

북유럽 스타일에 대해서 홈쇼핑 채널이라 디자인 관련 책자에서도 종종 마주하기는 했지만 과연 이것이 어떤 스타일인지에 대한 정의는 막연하기만 하다. 이름에서 풍기는 느낌 때문인지 왠지 모르게 고풍스러우면서도 한편으론 감각적인 느낌일 것만 같은데 과연 이게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이 책 안에 압축하여 담아놓고 있었다.

유럽이라는 이름은 친숙하게만 느껴지지만 북유럽이라는 것은 유럽보다는 생경하게만 느껴지는 이 곳에 대해서, 사실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우리가 누리고 있는 꽤나 많은 것들이 이미 북유럽의 것들이 많이 있었고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북유럽이라는 나라가 먼 나라가 아닌 이미 우리 안에 쉬이 접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어떠한 나라에 대해서 알고자 한다면 그 나라의 역사책을 읽어보라던 이야기처럼, 이 책 역시도 북유럽의 역사에 대해서 먼저 독자들에게 소개를 하고 있다. 보통 북유럽이라고 하면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노르웨이를 이야기한다는데 스칸디나비아는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이렇게 3개국을 일컫는 말이라고 한다. 유럽의 끝자락에 자리한 이 스칸디나비아반도에는 바이킹들의 역사가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었으며 흥미로운 것은 각 국가의 바이킹들 모두가 그들의 지리적인 위치에 입각하여 바이킹 자체의 성격마저도 달랐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자신들의 땅에서 조용하게 살던 바이킹들은 왜 갑자기 멀리 바다 원정을 나가기 시작했을까? 가장 큰 이유는 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이었다. 북유럽 지역은 평야가 드물고 토질이 척박했기 때문에 식량이 많이 생산되지 않았다. 기후 온난화로 작물 수확량이 늘어나기는 했지만 인구는 더욱 폭발적으로 늘어나 식량 자급이 힘들어졌다. 넘쳐나는 인구와 식량난을 해결할 방법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는 것이었다.

 당시 북유럽에서는 땅을 상속받는 것은 장남뿐이었고, 차남과 삼남 등 그 아래 아들들은 스스로 땅을 개척해야만 했다. 또한 죄를 지은 범죄자들은 고향에서 추방당했기 때문에 다른 곳을 터전을 마련해야 했다. –본문

 특히나 신화하면 그리스 로마 신화를 먼저 떠오르기 마련이었는데 북유럽의 신화들을 마주하면 그들은 신이라는 범접할 수 없는 그들만의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딘가 모르게 인간을 닮은 듯한 모습들이기에 읽는 내내 마음이 동하게 된다. 그리스 로마 신화만이 전부인 듯 생각하여 그것들에만 목을 메고 읽어 나가곤 했는데, 앞으론 북유럽 신화들에 대해서도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역사를 떠나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 한 내용들이 계속해서 펼쳐 나가게 된다.

 남녀 평등에 그 어느 곳보다도 뚜렷이 자리잡은 북유럽에서는 핀란드의 엘리자베스 렌이 세계 최초의 여성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가도 하며, 노르웨이에서는 여성의 군 복무를 의무화 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스웨덴에서는 자녀 출산 전후로 450일 동안의 휴가를 가질 수 있다고 하는데 이 휴가는 남녀 구분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고 한다. 물론 이 모든 복지 혜택들을 위해서 북유럽 국가들의 세금은 임금의 50% 남짓한 수준이라고 하는데 국민들은 국가가 자신들의 세금을 투영하게 운영하여 그 모든 혜택들이 자신들에게 돌아오리라 믿고 있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세금을 낮추는 것에 반대한다고 한다.

 스릴러가 인기를 끌려면 1인당 국민소득이 2 5천 달러를 넘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기본적인 경제사회적 능력과 추리소설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추리소설은 영미권과 일본이 강세를 보였으나 최근 들어 이들 언어권은 식상하다는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본문

 모두가 좋아요, 를 외치고 있는 그 순간에도 누군가는 그 풍요로운 혜택을 받지 못하는 순간들이 있을 것이다. 모든 이들이 부유해 보이는 이 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역차별에 대한 이야기들은 바로 그들의 문학을 통해서 다시금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는데 <스노우 맨>이나 <렛미인>이 북유럽의 대표적인 스릴러 문학이라고 하는데 요 네스뵈 역시 노르웨이의 국민작가로서 얼마 전 우리나라에도 방한한 적이 있는 인기 있는 작가 중 한 분이라 한다.

 특히나 카모메 식당이라는 영화는 이름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는데 일본 작품이기에 당연히 배경 또한 일본인 줄만 알았는데 이 영화 속의 배경이 핀란드의 헬싱키라고 한다. 당시 이 작품의 인기를 타고 일본인들에게 핀란드 속 카모메 식당을 찾아가는 여행이 인기를 끌었다고 하는데 그저 핀란드라는 배경뿐만 아니라 그 곳에 등장했던 모든 것들이 이슈화 되었다고 한다.

 영화의 주 무대가 식당이니만큼 이 영화에는 핀란드 자기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특히 이딸라브랜드의 컵과 접시들이 주로 소개된다. 이딸라의 디자인은 핀란드의 여러 디자이너들이 함께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본문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하여 부자가 된 줄만 알았던 노벨이 사실은 폭파용 뇌관이 바로 수익의 원천이었다는 것과 그가 어떻게 하여 노벨상이라는 것을 만들어 내게 되었는지, 한때는 금융업계의 마이다스의 손이었던 아이슬란드의 붕괴가 어떠한 이유로 발생하게 되었는지, 앵그리버드에서부터 레고를 지나 안데르센까지 그야말로 북유럽의 전반적인 내용들을 모두 마주할 수 있게 된다.

 모른다고만 생각했던 북유럽이 우리 주변 곳곳에 자리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이 책 속의 내용들이 더욱 흥미롭게 다가온 듯 하다. 50개의 키워드가 있기에 골라 보는 재미도 쏠쏠했던 이 책을 통해서 북유럽이 친근하면서도 더 알아보고 싶어진다. 일단 북유럽 신화부터 다시금 찾아 읽어봐야겠다.

 

 

 

아르's 추천목록

 

그리움은 모두 북유럽에서 온다 / 양정훈저

 

 

 

독서 기간 : 2014.04.08~04.09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