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스타일 손뜨개 소품 2 - 북유럽 스타일에 로맨틱을 더한 두 번째 손뜨개 레슨 북유럽 스타일 시리즈
주부와생활사 지음, 배혜영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아르's Review

 

 

 

 

 쌀쌀한 바람이 불고 바야흐로 겨울의 흔적들이 곳곳에서 드러날 즈음이면, 늘 목도리를 하나 떠볼까? 하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고등학교 때 이모한테 배웠던 뜨개질 실력은 안뜨기와 겉뜨기가 전부였지만 그것만으로도 목도리를 뜨는 대는 문제가 없었으니, 매번 실을 사서 한 번 해봐야지! 라는 생각으로 만들던 뜨개질은 채 실 1통을 다 쓰지도 못하고 흐지부지 되기 일쑤였다.

 그러다가 작년에, 기어이 달바에게 목도리 하나를 떠 주고 싶다는 바람으로, 그것도 아무 무늬 없는 목도리가 아닌, 기왕이면 예쁜 무늬가 들어간 목도리를 뜨고 싶다는 생각에 무작정 동대문을 가서 실은 고르고 인터넷을 서핑하면서 도안 보는 법을 배우며 변형 고무뜨기와 네오무늬 목도리를 완성하게 되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이마저도 장족의 발전이라 할 수 있지만, 이 책을 보는 순간 뜨개질의 신세계를 만나게 되었으니 바로 배색으로 만든 무늬가 있는 뜨개질 작품들이었다.

 사실 무늬가 있는 목도리는 그저 기계로만 만드는 것인 줄만 알았기에 직접 손뜨개로 뜰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했는데, 도안도 어느 정도는 볼 줄 알기에 덥석 이 책을 집어 들고 찬찬히 작품들을 보기 시작했다.

 

 

 

 

 아직 손뜨개로 장갑은 떠 본적이 없어서 이 예쁜 장갑을 보면서 이번 겨울에는 꼭 장갑을 만들어보리라, 라는 결심을 하게 한 사진이다. 무늬도 무늬지만 빨간 배경에 작은 새와 들풀은 아기자기 하면서도 따스해 보인다.

 본격적으로 배색뜨기에 대한 강의가 시작되는데 안쪽과 겉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적당한 힘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너무 느슨해서도, 너무 타이트해서도 안 된다고 하는데 단색으로 뜨개질을 할 때도 늘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서 고생을 하는 터라 내심 걱정이 생기기도 한다.



 

 뜨개질 초보라도 기초부터 상세히 설명이 나오기 때문에 천천히 보면서 따라 하기 쉽게 설명이 되어 있다. 책을 펼치자 마자 뜨개질을 당장 하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키는데, 조만간 동대문 한 번 또 투어를 하며 이번에는 배색 목도리를 떠 봐야겠다

 

아르's 추천목록

 

북유럽에서 온 손뜨개 소품 / 스키야마 토모저

 

 

  

 

독서 기간 : 2013.11.25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