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중국에서 자본주의를 만났다
신동원 지음 / 참돌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중국 혹은 made in China 하면 떠올리게 되는 것은 붉은 색과 원산지가 중국인 제품은 저렴하다는 것이다. 질은 좀 떨어질 지 언정 겉 모습은 비슷한 물품을 싼 값에 살 수 있고 그 어느 나라보다도 copy 문화가 잘 발달되어 구하지 못하는 물건이 없으며 어느 곳을 가도 붉은색이 가득할 것이란 게 아직까지도 내가 가지고 있는 중국이란 나라의 이미지이다.

 수 많은 매체들이 G2 경제 지표에 대해 이야기 하고 그 미국과 중국이 세계 경제질서와 안보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에 대해 말하고 위안화 절상에 따라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것을 보면서도 중국이 언제 이렇게 성장을 한 것일까 라는 의문으로만 그들을 바라보고 있으니 지리적이나 역사적, 경제, 문화 둥을 총 망라하여 여전히 밀접한 연관이 있음에도 내가 알고 있는 중국은 내가 보고 싶은 부분만으로 한정시켜 바라보는 하나의 국가로만 자리 잡혀 있는 것이다.

 인구 세계 1, GDP 세계 2, 국가 면적 세계 4, 그 어느 것 하나 우리나라가 앞 서가는 것은 없음에도 중국의 성장에 대해 이해하고 배워봐야겠다는 의지 보다는 많은 인구를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 낸 결과라고만 치부했다. 별 다른 노력 없이 그들이 가진 자원인 인력이 만들어 낸 것이기에 그들의 오늘에도 나는 여전히 발전해야만 하는 부족한 나라로만 보고 있던 것이다.

 우리나라의 60~70년대의 시간을 지내고 있을 거라 믿었던 중국이 이제는 G2로 자리매김 하여 21세기의 경제를 쥐락펴락 하고 있다. 사회주의 인 듯 하지만 그 어느 곳보다도 자본주의적 마인드를 가지고 살고 있다는 그들의 경제 성장에 배우고 싶어 펼쳐 든 책 안에는 중국에서의 경제에 관한 분석이 담겨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의 중국이 담겨있다. 제목만 보고 이 책 안에서 중국의 경제 실태를 알아보고자 했던 나의 바람은 무너졌지만, 그 동안 내가 가지고 있던 중국을 산산이 깨트리고 그들의 문화를 배우고 그들의 삶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

 너무나 빠르고 쉽게 모방 제품을 만들어내는 중국을 보면 대체 왜 매번 남의 것을 베끼기만 하는 걸까?’ 라는 의문이 다분히 나의 시각에서 바라본 것이란 것을 깨달았다. 물론 그들의 복제는 불법으로 비난 받아 마땅하지만 그들 스스로는 누군가 나의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따라 한다는 것은 그 나름대로 나의 성공을 판가름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것으로 도덕이나 법보단 실리가, 남의 권리보다는 나의 이익이 우선시되는 문화 속 차이니즈 웨이가 녹아 있는 것이다. 또한 중국에서 어떠한 물품을 구매하려고 할 때 이전에 A라는 사람을 통해서 구매했다면 내가 직접 그 공장이나 판매로부터 구매하는 것이 더 저렴할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여전히 A라는 사람을 통해서 구매하는 것이 훨씬 저렴하고 안전하다. 이는 중국인들이 중시하는 관시 때문이며 이 관시는 비즈니스에 있어서 그 어떠한 것보다 중시되는 요건이다.

 시진핑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중국은 또 다른 중국으로의 변모를 꾀하고 있다. 내수를 진작시키면서 소득격차를 줄이고 그러면서 세계 속으로의 도약은 한 발 더 앞서 나가려 하고 있다. 내가 알던 중국은 이제 더 이상 하나의 국가로서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좌우하려 하고 있다. 언제까지나 만만한 중국이 아니다. 내가 보고 있는 중국은 너무도 협소하게 내 안의 틀 안에서 보려 했던 것임을 깨닫고 그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내일을 위해 겸허히 그들의 어제를 배워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