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티지 주얼리 - 120년 주얼리 디자인의 역사
캐롤라인 콕스 지음, 마은지 옮김 / 투플러스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얼리의 대명사 다이아몬드는 탄소의 결정체로 석탄 역시 탄소로 구성되어 있지만 배열의 차이로 그 가치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차이가 난다. 열과 압력으로 인해 생겨난 자연의 선물과도 같은 이 다이아몬드는 경도가 가장 높은 광석으로 변화가 거의 없기에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는데 그 증표로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나에게 보석이라 함은 그 값어치가 상당하기에 가진 자들을 위한 전유물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그들의 부를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만 인식하고 있었기에 나에게 주얼리란 단어는 내게는 어울리지 않는 그들만을 위한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알고 보면 인류가 살아오는 동안에 함께 그 시간을 지나온 것 중 하나가 주얼리로 그 안을 들춰보면 우리의 시간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살아있는 화석과도 같은 존재였다.

표지를 장식하고 있는 여자의 귀와 목, 손가락에 걸린 화려한 장식은 제일 먼저 나를 압도했다.아름답다 란 생각보다는 대체 이게 다 얼마일까 란 생각이 먼저 드는 것을 보면 나에게 주얼리는 아직까지도 물질의 풍요의 전유물로 더욱 크게 느껴지는 것이리라..

아름다움을 위한 매개체로 이용되는 주얼리에 대한 코코 사넬의 관념은 오랜 시간 동안 쌓아온 나의 편견을 사그라지게 해 주었다. 수억 원 상당의 보석을 목에 걸고 다닌 다고 해서 아름다운 것이 아니다. 주얼리의 목적은 부유함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아름다워 보이기 위해 걸치는 것이란 그녀의 당당한 이야기에 사치스럽게만 보석을 바라보던 시각의 새로운 활로를 얻는 계기가 되었다.

매년 열리는 S/S, F/W 시즌의 패션쇼가 열리는 것을 보면 패션이라는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다시 되풀이 되는 사이클이 있다는 것은 익히 들어 알고 있다. 하지만 그 패션과 함께, 그 이전부터 자리잡고 있었던 주얼리의 변화의 시간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해 보질 못한 것이 사실이다. 120년의 주얼리의 역사를 집대성해 놓은 이 책을 통해서 나는 그녀들이 지내온 시간 속에서 아름다움이란 것의 의미를 재 정립할 수 있었으며 돈의 무게가 아닌 아름다움의 빛을 먼저 볼 수 있는 여유를 배운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