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미루지 않기를 바람 - 지금부터 행복해지는 우울 극복 프로젝트
정보연 지음 / 푸른숲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13년간 우울증을 겪고 이겨내기 위한 노력과 우울증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들이 한 권의 수기로 꽉 채워진 책이다. 국어사전 상의 우울증이란 기분이 언짢아 명랑하지 아니한 심리 상태로 흔히 고민, 무능, 비관, 염세, 허무 관념 따위에 사로잡힘이라고 간단 명료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그 증세는 만큼은 단순하지 않다. 우울증이란 이름 하에 개인에게 드리우는 검은 그림자는 천차만별의 형태로 나타나며 저자 역시 수 많은 증세 중 하나의 형태로 자신에게 나타난 것이며 그를 이겨 내기 위해 시도한 방법 또한 그 많은 방도 중에 하나라고 이야기 한다.

 사실 우울증을 앓고 있어요. 라고 고백하는 것 조차가 쉽지 않은 일이다. 나 역시 겪어 보긴 했지만 이를 인정하고 내가 우울증 환자예요 라고 인정하는 것이 쉽지가 않았다. 아니, 내 스스로가 받아 들이기를 완강히 거부했었다.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서는 정신과 상담을 받거나 치료 중에 있는 것에 대해서 환자가 치료를 위한 노력이라기 보다는 정신병자로 상당한 문제 있는 사람으로 낙인 시켜 버린다. 심지어 가족들 조차도 정신과에 가야 할 거 같단 저자의 고백에 폭풍과도 같은 반향으로 저지하려 한다. 사회적 시선도 있거니와 정신력으로 이겨 내면 될 거란 조언이 쏟아지는 것을 보면 우울증 또한 뇌에 생기는 병리적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우울증 환자를 환자가 아닌 정신이상자로 취급하는 현 시대가 우울증이란 병을 더 퍼트리는 병원체가 아닐까? 란 씁쓸한 생각이 스쳤다.

 저자는 명상과 마음 챙김으로 많은 효과를 얻었다고 고백하며 그간 자신이 느낀 변화와 계속된 노력을 세세히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결심을 하게 된 계기가 고 노무현 대통령의 자살을 보고 난 뒤에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나는 고 안재환씨의 자살 이후 남겨진 사람들을 슬픔을 가슴으로 느끼며 이러한 생각이나 시도를 멈추어야겠단 생각을 했었다. 한 번 어둠의 나락으로 떨어질 때엔 주변의 것은 어떠한 것도 들리거나 보이지도 않는다. 설령 무엇인가 눈에 띄었다고 한 들 그저 스쳐 지나가게 내버려 둘 뿐이다. 그 긴 터널 속에 나를 가두며 내 스스로를 어둠 속에 가두어 두려고 했을 때 이러면 안되겠다는 생각을 타인의 죽음을 통해서 배우게 된 셈이다.

현재의 괴로움은, 과거 내가 저지른 행위()때문이다. 그 업은 깨어있지 않은, 훈련되지 않은 마음 상태에서 한 행동의 결과이다.그러므로 지금 여기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현재에 늘 깨어 있어 더 이상 깨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잘못된 행위를 저지르는 일을 막는 것이다.

지금 여기서 늘 깨어 있으라.(P88)

 우울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그를 이겨내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제시되어 있음에 현재 이 고통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 한 권의 책이 오아시스와 같은 역할을 해줄 것이다. 비단 그들에게뿐만 아니라 한 번쯤 삶의 무게가 버겁게 느껴졌던 이들에게도 꽤나 위로가 되어 줄 만한 책인 듯 하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