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전쟁 - 중국 vs 미국,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프랑수아 랑글레 지음, 이세진 옮김 / 소와당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중국 VS 미국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를 부재로 쓰여진 중국과 미국의 알력관계에 대해서 쓰여진 책이다. 국익 혹은 개인의 목적을 위한 두 국가간의 관계의 지속에 관해 60년대 후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설명하고 있는데 2012년에 발행된 책이긴 하나 2010년도까지 밖에 기술이 되어 있지 않아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책은 PART1,2으로 나누어 있는데 PART1에는 냉전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이야기들을, PART2에서는 20세기부터의 현재까지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분명 근대사에 관한 내용에 대한 수업을 들었지만 그 당시에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터라 모르고 넘어갔던 내용들이 많았었는데 이번 기회에 그런 내용들을 전반적으로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소련의 브레즈네프 선언으로 미국과 중국은 경계 태세에 돌입하게 된다. 소련의 확장주의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는 있지만 핵전쟁이 문턱에 있는지라 어느 한쪽이라도 동맹을 맺기 위해 고군분투를 하는 장면들 속에서 국가의 관계도 인간관계 마냥 실로 가벼우면서도 속을 알 수 없는 듯했다. 외교라는 이름 하에 진행 되는 모든 것들은 자국의 실리를 위해서 치열하게 전개 되었다.

 영국 수상 파머스턴 경의 표현을 따르자면, “이제 영원한 적도 없고 영원한 우방도 없으며 오로지 영원한 국가이익이 있을 뿐이었다. –P43

 이 한 마디의 말로 모든 것이 설명 되는 듯 하다.

 

체스트넛프로젝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련에게 미국과 중국이 동맹국임을 과시 하기 위해 미국 비행기가 베이징 공항에 도착했을 때 보란 듯이 소련 항공 비행기 옆 편에 세워 두는 장면에서는 실소가 터져 나왔다. 마치 어린아이들의 편 가르기를 배경만 국제란 무대 위로 등장 시켜 둔 듯 했다.

 

서로 다른 체제 속의 미국과 중국은 덩샤오핑의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를 돌입으로 인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84년부터 중국의 경제 성장은 연 15% 이상의 기록을 거두었으며 해외 자본 유치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위안화 평가 절하로 수출과 해외투자를 독려했으며 미국의 입장에서도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에 가장 큰 시장을 얻은 셈이었고 중국은 WTO 가입이라는 목표를 기반으로 이 두 국가는 불가분의 관계가 되어 간다.

 

전쟁은 이른바 탈근대, 후기 산업 시대에도 완전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전쟁은 다만 좀 더 복잡하고 광범위하게, 보다 교묘하게 은닉된 방식으로 인간 사회에 재침투할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군사적 폭력은 상대적으로 완회되겠지만 그와 동시에 정치, 경제, 기술의 폭력은 더욱 더 기승을 부리는 양상을 보이게 될 것이다.” –P91

중국은 세계 최대 시장, 위안화 절상, 낮은 인건비라는 카드를 이용하여 기술을 이전을 요구하며 빠른 성장을 하고 있으며 그러한 기술과 두터운 소비 시장을 내세워 산업의 표준과 규격을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서브프라임모기지론의 발생된 근원에 대해서도 중국의 거대한 손을 지목하고 있다. 미국 부동산 가치 상승이 수입으로 중국에 자본 축적을 도와주며 그 돈이 다시 미국의 국채를 사들이는데 쓰이게 되므로 미국의 금리가 낮아짐에 따라 미국의 가계 대출을 권장하는 꼴이 되었다는 것이다. 20세기 이전까지 중국은 미국의 협력국가 중 하나의 국가에 불가했다면 이제는 중국이 미국을 끌어당기고 있는 형태로 바뀌게 된 것이다.

 

PART2에서는 이 책의 부재인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제시해 놓고 있다. PART1에서는 미국과 중국간의 줄다리기에 대해 논한다면 PART2에서는 오롯이 중국을 조명하고 있다. 뉴스나 신문에서도 중국의 빠른 성장이라든가 그들이 무서운 속도로 따라 오고 있다는 소식에 대해 종종 듣기는 했지만 나에게 중국이란 국가는 대국의 느낌이라기 보단 그저 가까운 나라 중 하나일 뿐이었다. MADE IN CHINA를 보면 신뢰보다는 저렴한 가격에 구매를 하곤 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PART2에 그려진 중국은 결코 만만하지 않았다.

미국 경제의 근간이 흔들림에 따라 중국에 위안화 절상을 요구 하고 있지만 현 상황 속에 중국에게 가장 많은 혜택을 보는 것 역시 미국이다. 미국 무역수지 적자 및 실업률이 증대되는 것에 대미 중국 수출이긴 하나 미국의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한 중국 덕분에 미국 경재는 또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중국은 군사 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해 끊임없이 무기를 사들이고 있으며 영해 역시 영토로 인식하여 인근의 열도 역시 대륙의 연장선상으로 보아 해양 제국이 되기 위해서 계속된 군비를 확충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사이버상에서도 우위를 점위하기 위하여 해커 양성에 암묵적 동의를 하고 교육에 있어서도 무엇이든 흡수하고 또 퍼트리고 있다.

 

세계의 흐름이 바뀜에 따라 그 시대 속에 국가들의 전략과 이해관계가 달라지기 마련이지만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국익을 위해서 움직인다는 전제는 변함이 없는 듯 하다. 과거의 주인공이 누구이고 현재의 스타가 누구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 현재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닫게 해주는 책인 듯 하다. 세계를 누가 지배하는 것을 관측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지금 그들의 행보를 통해 우리가 가야 하는 길을 다시 한번 돌아보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