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억 속의 색 -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청소년권장도서
미셸 파스투로 지음, 최정수 옮김 / 안그라픽스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방영했던 '동안미녀'라는 드라마에서 장나라가 연기했던 역할은 옷을 만드는 디자이너였다. 극 중반 라이벌과의 경쟁 속에서 디자이너로서는 치명적인 약점을 갖게 되는데 일시적이긴 했지만 바로 색을 구분할 수 없게 되는 증상이 생겨버린 것이다. 세상 모든 것이 흑백이나 세피아톤의 우중충한 모습으로 보이게 되는 장면, 당혹감과 좌절감으로 힘들어하는 여주인공의 모습... 기존에 너무나 익숙해서 인식하지도 못했던 하나의 감각이 그렇게 마비되어버린다는 것이 어떤 고통을 가져올지 나는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맛을 느끼지 못한다거나 들리지 않는다거나 보이지 않는다거나 하는, 있던 것이 없어졌을 때의 고통. 하지만 인간은 그리 약한 존재가 아니라서 특정한 부분의 능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하더라도 오히려 그것을 계기로 더 큰 성취를 이루는 역전의 드라마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색은 물론이고 특정한 한 감각이나 가치만을 가지고 우리 삶을 분석하고 해석해보려는 시도는 어느 정도 분명한 한계가 있는 연구 방법인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인공조명이 개발되기 이전, 횃불로 실내를 밝히던 시절의 색과 오늘날의 색의 차이를 설명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예전에는 끊임없이 변하는 자연의 빛과, 실내에서 끊임없이 흔들리는 촛불 등의 영향으로 인해 사람들은 색을 움직이고 변화하는, 유동적인 것으로 인식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 수 있었는데 사실 조금만 생각해보면 색에 관한 현대인과 과거 사람들과의 인식 차이는 자명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오래된 예술작품들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오늘날의 기술과 지식으로만 과거의 예술적 미학을 재건하려고 하는 시도들은 너무나 안타까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가 활발히 활동하던 1970년대 전후반에는 색에 대해 학문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그런 불모지와도 같은 상황에서 색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자 했던 저자의 노력은 초기에는 많은 애를 먹었지만 끊임없는 노력과 열정으로 색이라는 분야가 인문학과 예술의 영역에서 독자적인 틀을 갖추게 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저자가 밝히고 있듯이 자서전적 성격과 인문학의 성격을 동시에 띄고 있어 저자의 색에 대한 추억들, 역사적 사건, 사회문화적 현상, 일상 등에서 우리가 미처 크게 신경쓰지 못하고 있지만 분명히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색과 관련한 사사로운 것에서부터 제법 묵직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하고 깊은 이야기들을 만나볼 수 있다. 약간 지루한 면도 있었지만 색에 대해 지금까지 가져보지 못했던 관점으로 생각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괜찮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