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의 서재 - 그리고 그들은 누군가의 책이 되었다
한정원 지음, 전영건 사진 / 행성B(행성비)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지식인의 서재’는 전진과 휴식, 성찰과 창조가 공존하는 서재라는 공간의 매력은 물론이고 그 서재의 기운을 마음껏 누리고 있는, 책이 곧 삶이 되고 삶이 곧 책이 된 지식인들의 책에 대한 깊은 애정과 보다 살기 좋은 세상을 위한 고민의 흔적을 느낄 수 있어 책을 좋아하고 자기만의 서재를 꿈꾸는 모든 사람에게 기분 좋은 시간을 선사한다. 또한 이 책은 사람을 풍요롭게 하고 삶의 질을 한 차원 높이면서도 더욱 겸손하게 하는 마법의 공간을 시대의 지성들은 어떻게 구축했고 또 활용하고 있는지 그 비결을 들려준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예전에 읽었던 책 중에 한겨레출판에서 나온 ‘한국의 글쟁이들’이란 책이 떠올랐다. 그 책은 우리나라에서 집필가로서, 즉 글을 써서 온전히 먹고 사는 대표적인 글쟁이들의 집필 세계를 취재한 인터뷰 내용을 담고 있다. 아무래도 글 쓰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다 보니 인터뷰 장소가 서재인 경우가 많았던 관계로 아마 비슷한 분위기가 느껴져서 그런 것 같다. ‘지식인의 서재’에 나온 분들 중에는 미술저술가로 활약 중인 이주헌 선생님이 유일하게 겹친다.

   법학자, 자연과학자, 시인, 건축가, 사진가, 영화감독, 음악인 등 사회 각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이들의 근간에는 어린 시절부터 이어져온 독서와 이를 바탕으로 한 깊고 풍부한 사유와 경험, 실천적 행동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들에게 있어 더욱 확장된 독서 세계라 할 수 있는 서재란 지식의 축적과 지혜의 획득, 새로운 지식의 창조는 물론 지친 영혼과 정신을 쉬게 하고 재충전하는 의미를 넘어 세계와 나, 인간과 인간의 진정한 소통을 위한 공간이라는 점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재를 과거와 현재, 미래의 생명이 공존하는 장소인 숲과 같은 공간으로 인식하는 분들이 많았다. 한 권의 책만 집중적으로 파기보다는 주제나 내용이 연결되는 네트워크적인 독서를 행하는 분들이 많았다는 점도 특징이다. 반대로 차이점이라면 지금까지 모은 책들을 평생의 친구 혹은 가족처럼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는 분들이 있는가 하면 비우고 채우는 과정, 책들이 오고 가는 순환 속에서 서재의 가치를 빛내는 분들로 나누어지는 특징도 재미있었다. 치열한 삶의 전략으로서의 책읽기 지론을 가지고 계신 분도 있었고 흘러가는 자연의 순리처럼 모든 내용을 완전하게 이해하려 하지 말고 흐름에 맡기는 독서를 권하는 분들도 있었다. 최재천 교수님은 다시 책을 읽을 때 그 이전의 생각에 갇히지 않기 위해 책에 메모를 하지 않는다고 하신 반면 많은 분들이 저자와의 대화, 효과적인 재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책에 하는 메모를 선호하는 차이점도 볼 수 있었다. 책 그 자체의 의미도 크지만 책을 읽을 때에 가지는 목적과 태도가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는 모든 분들이 강조하는 부분이었다. ‘책만 보고 사람들하고 교류를 하지 않으면 나처럼 장애자로 살게 된다’는 자연주의 살림꾼 이효재 님의 말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서재의 매력은 같은 자리에서 먼 과거와 미래를 오갈 수도 있고 현재라는 시간의 깊이와 넓이를 한 점으로 집약시키거나 사방으로 무한 확장할 수 있는 환상의 공간이라는 점이 아닐까 싶다. 이토록 멋진 서재라는 공간을 나도 하루빨리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데 조금 생각을 바꿔보면 이미 나는 훌륭한 서재를 가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책이 있는 공간,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 그 안에서 함께 하는 사람들 그리고 이 세상이 멋진 하나의 서재가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