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의 사생활 - 우리 집 개는 무슨 생각을 할까?
알렉산드라 호로비츠 지음, 구세희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동물농장’ 같은 프로그램은 재방송을 하도 많이 해서 언제든 한 번씩은 꼭 보게 되는데 그때마다 재미와 감동, 안타까움 등 다양한 감정을 느낄 수 있어 이제는 기호와 관계없이 편하게 생각하고 보는 방송 중에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거기에 나오는 동물들, 특히 개와 관련한 내용들은 저자가 지적한 것처럼 개의 입장이나 관점보다는 사람의 생각이 덧입혀진, 즉 의인화된 동반자 개념이 아주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사람에 상처를 많이 받은 출연자가 개를 평생의 친구처럼 여기고 살아가는 모습이나 플란다스의 개처럼 할머니의 훌륭한 가족이자 도우미가 되어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실상 그것이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런 식의 관계는 아니었다고 생각하니 언뜻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 부분도 있다. 하지만 오랜 시간을 두고 형성된 인간과 개의 관계를 탐구한 저자의 노력은 애견인들이 한번쯤은 되짚어볼 가치가 있다.
MBC스페셜에서 했던 ‘노견만세’라는 다큐도 생각난다. 개와의 교감을 통해 황폐해진 인생이 되살아나고 활기차고 행복한 인생을 누리다가 그 개와의 이별의 순간까지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였는데 거기에는 수명을 다해 죽음을 앞둔 개 앞에서 많은 눈물을 보였던 가족들의 모습, 사람처럼 치매에 걸려 죽은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로, 차라리 안락사를 시켜주는 것이 개에게 더 편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죽는 순간까지 가족처럼 지낸 개를 정성을 다해 간호해주던 사람들의 모습이 기억에 남는다. 이외에도 개와 인간에 관한 미담은 수없이 많다. 주인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의로운 개나 ‘하치 이야기’, ‘우리 개 이야기’에 나온 개들처럼 헤어진 주인을 잊지 못해 평생을 기다리다 죽음을 맞이한 개 이야기까지. 사람들은 이런 모습을 통해 충분히 개가 인간만큼은 아닐지라도 어느 정도 인간과 비슷한 감정으로 교감을 가진다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냉정히 개의 입장에서 봤을 때 그것은 수천 수만년 동안 그들을 지켜주었던 생존 본능에 의한 것이었고 거기에 인간이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행했던 선택이 함께 만들어낸 불가해한 기적, 기적과도 같은 드라마였던 것 같다. 인간은 어떤 상황에서든 의미를 부여해 삶의 지속가능성을 높여왔고 우연히 개라는 개체가 가장 훌륭한 파트너 역할을 한 것은 아니었을까.
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움벨트’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는 동물의 주관적인 세상을 의미한다고 한다. 즉 사람과 개에게는 자기만의 움벨트가 있는데 이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지금까지 사람의 관점으로만 개를 대해온 것은 아닌가 하는 점에서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다. 개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사람의 추측이 아닌 최대한 개의 입장에서 어떤 느낌을 가지고 그랬던 것인지 다양한 사례와 연구를 통해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 대 인간의 소통도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세상에서 개와 인간의 소통 문제는 개를 애정을 갖고 키워보지 않은 사람에게는 생뚱맞을 수도 있겠다. 내가 생각하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은 사람답게 살고, 개는 개답게 키우거나 살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필요 이상의 감정이입과 의미부여로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서 적절히 누려야 할 행복감이 변질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함께 있는 생명체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을 공부해둘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