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현대지성 클래식 48
알베르 카뮈 지음, 유기환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롤랑 바르트는 『이방인』에 대해 “2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에서 나온 첫 번째 고전소설”이라고 평했다. ‘고전’이라고 평가받는 모든 책들은 보통 당대에 한두 번 읽히는 데서 끝나지 않고, 시대와 세대를 넘어 반복적으로 읽히면서 끝없이 재해석되며 그 생명력을 연장하고 있는 작품을 담고 있다. 『이방인』은 바르트의 예언적 평가대로 우리 시대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했다. 잊을 만하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라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한다. 그리고 그의 다른 작품들, 이를테면 『페스트』 같은 작품은 코로나 시대에 그 가치가 재조명되었다.

나의 『이방인』 읽기는 이번이 두 번째다. 고전답게 처음 읽었을 때와는 확실히 달랐다. 그 다름을 가능하게 한 외부적 요소 몇 개를 거론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번역이다. 두 번째로 읽은 이 소설은 현대지성 클래식으로 나왔으며, 유기환 번역가에 의해 번역되었다. 이전에 읽었던 것은 서상원 번역가의 번역본이었다. 어떤 번역이 더 좋은지를 판단할 수는 없다. 다만 재독의 즐거움을 더해주는 데 있어 다양한 번역이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대지성 클래식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각주와 해설, 자료다. 현대지성판 『이방인』은 본편 앞뒤로 작품의 이해를 돕는 장치가 풍성하다. 앞쪽에는 동일한 번역가의 초판본 번역과 개정판 번역에 대한 옮긴이의 말 두 가지를 비교해서 볼 수 있어, 이 작품에 대한 번역가의 기본적인 생각과 거의 10년에 가까운 세월 사이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엿볼 수 있다. 이는 원작에 대해 이방인인 독자들이 알베르 카뮈의 작품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한다.

셋째, 이 작품이 나올 당시의 알베르 카뮈가 자신의 작품에 대해 어떤 감정과 생각을 품고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문헌자료가 첨부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서구사회를 지배하고 이끌어온 기독교적 세계관이 어떤 방식으로 세상과 사회, 사람들의 의식을 왜곡하고 모순적으로 만들었는지 비판하는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카뮈 소설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인 ‘부조리’라는 개념으로 승화할 수 있었던 개연성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작품 내에서 새롭게 눈에 들어왔던 요소를 풀어보려 한다. 이 작품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부분이 바로 주인공 뫼르소가 사람을 죽인 이유로 강렬한 태양빛을 들었다는 것인데, 실상 다시 한번 읽어보니 그 문장이 그렇게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지는 않았다. 물론 ‘태양’, ‘더위’, ‘침묵’, ‘바다’ 등의 이미지는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지만, 그 문장 자체가 이 작품의 성격을 규정할 만큼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카뮈의 문체가 간결하고 단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전체 맥락에서 파악되지 않으면 역시 큰 의미를 가질 수 없다. 하나의 문장이 이렇게 한 작품의 이미지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그만큼 『이방인』이 제대로 읽히고 있지 않거나, 읽었다 하더라도 자신의 독서가 아니라 타인의 독서와 감상에 기댄 비주관적 독서 행태의 결과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나 역시 그 행태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다. 언제가 될지 알 수는 없지만 다음의 『이방인』 읽기에서 그것을 얼마나 극복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 네이버 「디지털감성 e북카페」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