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행성이 있었다
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양영란 옮김 / 마시멜로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진행형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보고 있으면 머지않아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반대로, 역사의 교훈도 있고, 사람들이 아무리 비이성에 함몰되는 시대라 하더라도, 최후의 선을 넘지는 않을 판단력 정도는 여전히 남아 있을 거라는 희망 아닌 희망 때문에, 또 어느샌가 눈에 보이는 전쟁은 끝나고 총성 없는 전쟁으로 사람들이 아우성치는 그런 시대로 돌아갈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인류에게 작가라는 존재가 있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큰 행운이다. 왜냐하면 아직은 일어나지 않은 일, 나아가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미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이야기라는 형태로 인류에게 보여주는 직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아주 그럴듯한 이야기는 사람들에게 현실을 다시 한번 생각하고 하고, 나빠질 가능성이 높은 미래를 조금은 덜 나쁘도록, 운이 좋으면 지금보다 더 나은 시대로 만들 수 있는 여지를 열게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에 번역 출간된 프랑수아 를로르의 『푸른 행성이 있었다』는 기후 재앙과 경제 붕괴, 자원 쟁탈과 핵전쟁, 이후 핵겨울로 황폐해져버린 지구, 그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성과 상상력을 고루 갖춘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지구 멸망의 원인은 우리가 실제로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위험 요소이고, 다행히 연구를 위해 미리 파견된 화성에 거주하는 인류는 어느 정도 실현 가능한 인류의 화성 진출이라는 프로젝트를 미디어에서 자주 접한 탓에 지나치게 낯설지 않은 문학적 상상력이라는 점에서 가독성을 높인다.

황폐해져버린 지구와 지구를 떠난 인류 공동체라는 소재라고 한다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파피용』을 들 수 있다. 이 소설과 베르베르의 소설을 굳이 비교해보자면 큰 차이가 하나 있는데 바로 인공지능의 존재 혹은 영향력이다. 『파피용』에서의 인류 공동체는 지구에서 탈출 후 초기에는 자체적으로 건강한 사회를 이루는 것 같았지만 결국 변질된 사랑인 ‘애증’ 문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갈등과 대립이 촉발, 결국 좁디좁은 우주선 안에서 인류의 어리석은 역사가 되풀이되는 운명을 보여준다.

반대로 『푸른 행성이 있었다』에서 이주한 인류 공동체는 인공지능의 도움과 관리, 나아가 지배를 통해 매우 안정적인 사회를 정착시키는 데 성공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반대로 화성에서의 눈부신 기술 발전을 토대로, 황폐해진 지구 혹은 오래전 떠났던 고향 지구로 다시 귀환하려는 프로젝트까지 준비하고 실천하는 집단으로 묘사된다.

앞서 파견된 유능한 지구 탐사 대원들의 실종 사건의 진상을 확인하기 위해 단독으로 지구에 보내지는 임무를 맡게 된 주인공 ‘로뱅 노르망디’의 화성에서 지구로, 다시 지구에서 화성으로 돌아오는 여정이 흥미진진하게 그려지는 이 이야기에서, 오히려 가장 주목되는 포인트는 이 모든 일을 관리, 감시하는 인공지능이라는 존재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저자의 통찰이다. 인공지능에게 감정이 생길 수 있을까? 그런 일이 실제로 벌어진다면 인류와의 관계는 어떻게 재설정될까? 이 소설은 이런 주제를 문학적으로 풀어낸 이야기 중에서 가장 주목받을 작품 중 하나로 거론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네이버 「디지털감성 e북카페」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