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온통 과학이야 - 의심스러운 사회를 읽는 과학자의 정밀 확대경, 2023 올해의 청소년 교양도서 선정 세상은 온통 시리즈
마이 티 응우옌 킴 지음, 배명자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 커뮤니케이터들의 시대인 것 같다. 유튜브의 역할이 컸다. 많은 과학자들이 대중들을 위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과학에 대해 전달하기 위해 크리에이터로 활약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훌륭하고 탁월한 유튜브 과학 크리에이터들이 대활약중이다. 이들이 만들어 놓은 콘텐츠들만 꾸준히 잘 보아도 어느 정도 과학에 대해 아는 척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유튜브를 매개로 한 활약 이전에는 대중적 과학 교양서들이 그 역할을 했다. 이 분야의 대표적인 예로 언뜻 떠오르는 인물이 바로 정재승 박사다. 그를 필두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과학 교양서들을 집필하며 과학에 대해 호기심을 가진 많은 독자들의 갈증을 풀어주었다.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수많은 후배들이 그의 역할을 이어받아 과학 전도사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책이 인기를 얻으면 그 내용을 바탕으로 강연 활동을 이어가고, 연구에 그 강연 활동에서 다룬 내용을 더해 또 다른 책을 써서 계속 활동을 이어가는 저술가들의 패턴을 볼 수 있는데, 내 기억에 과학 분야에서는 그런 일이 드물었던 것 같다. 하지만 유튜브의 등장은 과학 저술가들에게도 새로운 출판과 강연을 위한 수입의 기반이 되어준 것 같다.

『세상은 온통 과학이야』의 저자 마이 티 응우옌 킴도 바로 그런 경우다. 최근 과학과 과학적 관점, 유사과학적 태도가 구별되지 않아 세상이 상당히 혼란에 빠져 있는데, 그녀는 이런 세상의 상황을 가만히 두고 볼 수가 없어서 좋은 직장을 거절하고 과학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발을 들였다고 한다. 그 선택은 옳았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에게 흥미롭고 건강한 과학 지식을 전달할 수 있게 되었으니 말이다.

진정한 과학적 태도는 사실과 의견을 구별할 줄 아는 데서 시작한다. 과학은 진리가 아니라 진리를 탐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과학적’이라는 수식어에 필요 이상의 신뢰를 두고 상대를 설득하려는 무모한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 불필요한 사회적 에너지 소모가 심각한 수준이다.

과학이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양질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데이터는 시작일 뿐이다. 분석을 통해 적절한 해석이 이루어져야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과학적 사실의 근거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이 바로 과학이다. 저자의 말로 표현하자면, “방법이 중요”한 것이다.

과학의 미덕은 언제나 개선될 수 있는 여지에 있다. 그래서 저자는 완전하고 객관적인 과학적 분석은 없다고 말한다. 과학은 절대진리가 아니다. 즉 과학적 분석과 그것을 근거로 한 의견 주장이나 정책 도입은 항상 틀릴 여지가 있고, 이의 제기를 통해 더 나은 길을 모색하도록 열어놓는 것이 진정한 과학적 접근 방식이다.

이 책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부분은 바로 어째서 코로나 백신이 그토로 빨리 나올 수 있었는지에 대한 과정 소개였다. 이를 통해 독자는 다수의 코로나 백신에 대한 음모론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과학’과 ‘과학적 사실’이란 ‘과학적 합의’를 의미한다고 말한다. 일반적인 문제에서는 이 합의에 도달하는 것에 그리 큰 어려움이 없겠으나 기후변화와 같은 거대 논제에서는 첨예한 대립이 일어나고 있다. 왜냐하면 상당한 재정적 이해관계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합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이런 때일수록 일반 시민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와 역량 향상이 시급한 과제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쩌면 시민으로서의 자격 요건에 가장 필요한 것은 과학적 사고방식, 즉 이 책이 말하는 진정한 의미의 과학적 태도일지도 모른다.

* 네이버 「디지털감성 e북카페」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