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지평선 - 우리가 우주에 관해 아는 것들, 그리고 영원히 알 수 없는 것들
아메데오 발비 지음, 김현주 옮김, 황호성 감수 / 북인어박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은 진리가 아니라 진리를 밝히는 가장 유용한 방법이라는 것은 익히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수많은 사람들이 놀라우리만치 과학을 맹신하며, 또 그만큼의 사람들이 과학을 불신하고 있다. 과학이 그동안 이룬 업적을 통해 우리의 삶이 얼마나 바뀌었는지를 돌이켜 보면, 이 양 극단의 감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생각이나 감각은 정말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이런 사람들이 가득한 세상, 가득한 시대가 바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모습이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과학의 진정한 의미를 바로 알고, 또 더 선명히 알고자 과학이 우리 삶에 주는 유익함을 지혜롭게 활용하고 공부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에게 이번에 출간된 『마지막 지평선』은 지적 즐거움과 함께 과학적 태도의 진정한 가치와 의미를 생각하게 해줄 멋진 책임에 틀림없다고 생각된다.

이 책의 제목은 이중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그동안 인류가 밝혀온 우주에 관한 수많은 지식들과 그 지식들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를,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위치와 수준에서 어떤 점들이 더 높은 단계의 지식으로 이끌어 가는 데 방해가 되고 있는지, 그 한계를 다루고 있는 것이다. “그것에 관한 질문들만 모아도 책 한 권을 만들 수 있을”만큼 우주는 인류에게 가장 크고, 단순하면서도 복잡한 미지의 영역이다. 그렇지만 인류의 도전은 멈추지 않고 계속되고 있음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책의 서문에는 “빛을 이용해 관측 가능한 우주”라는 표현이 나온다. 이 표현이 물리학을 비롯한 과학 전반에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지는 나도 최근에야 조금 이해할 수 있었다. 즉 인류가 우주와 자연 현상 전반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하는 데 있어 빛이라는 존재는 최고의 도구이자 그 한계를 명백히 규정짓는 기준이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주의 나이가 138억 년이라고 했을 때 그 수치를 알 수 있는 근거는 빛의 속도와 관련이 있는데, 그 말은 빛의 속도를 벗어나는 어떤 우주적 현상이나 원리가 존재한다면 인간은 그것을 영원히 알 수 없다는 의미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17~18세기를 거쳐 일어난 과학혁명의 중심에 있던 뉴턴의 기계적 세계관이 아인슈타인에 의해 어떻게 수정되고, 또 아인슈타인의 정적 우주론에 대한 고집이 어떻게 다른 학자들의 연구와 실증적 발견에 의해 교정되고 있는지를 흥미진진하게 보여준다. 과학의 진정한 가치는 바로 이렇게 항상 열려 있는 가능성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이 책은 분명하게 알려주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가장 흥미로운 사실 중 하나는, 우주의 팽창은 폭발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이었다. 즉 ‘빅뱅’이라는 표현은 우주의 기원으로 강력하게 지지되는 현상에서 폭발이라는 이미지를 잘못 심어준, 다시 말해 작명을 제대로 하지 못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용어가 있는 그대로의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대중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킨 경우다.

현대의 우주론, 천체물리학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바로 암흑 물질의 존재 여부와 우주 상수의 유효성 문제, 그리고 빅뱅 이론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급팽창 모형이 정말 우주의 비밀을 한꺼풀 벗겨줄 혁신적인 이론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이전까지 축적된 지식과, 또 새롭게 발견된 관측 데이터들과 상충되지 않고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느냐 하는 문제와 연결된다. 『마지막 지평선』은 이런 과정을 읽어가는 가운데 독자들에게 과학에서 배워야 할 가장 중요한 가치와 교훈이 무엇인지 가르쳐 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익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 네이버 「문화충전200%」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