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말 많은 미술관 - 미술관만 가면 말문이 막히는 당신을 위한
정시몬 지음 / 부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 작품을 감상할 때 신기하게도 누가 보지도 않는데 저절로 자기 검열이 되는 기분을 느껴본 적이 있는가? 미술 작품을 자유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나름의 관점과 주관을 가지고 그 작품에 대해 의견을 가져보고 표현도 해보는 것이 미술 작품 감상의 원래 즐거움일 텐데, 어찌된 일인지, 미리 배운 적도 없고, 누가 그러라고 강요하지도 않는데 미술 작품 앞에만 서면, 미술 작품을 담은 책을 보면서 이내 전문가적 식견을 가지지 못한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지는 않지만 최소한 떳떳하게 여기지는 못하는 자기 자신을 말이다.

물론 예술 작품이란 미리 작품이 제작된 배경이나 제작자의 성향, 이야기 등을 알고 보면 확실히 그 작품의 진가가 다르게 다가오거나 보다 정확한 감상을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하지만 오독의 즐거움이란 것도 있듯이, 그 감상이 특별히 여러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라면 작가의 의도와 다른 전혀 엉뚱한 감상을 하게 되더라도 무엇이 그리 잘못일까? 오히려 그런 엉뚱한 감상과 평가가 작품의 내적 풍요로움을 더 확장시키고 작품의 외연을 확대하는 계기로 작용하는 것은 아닐까?

책 초반에 소개된 부분적으로 유실된 조각 작품 두 점만 해도 그렇다. 날개를 펼친 승리의 여신 니케상과 밀로의 비너스상은 로마 시대의 조각 작품들이 넘치는 시대에 발굴되어 오히려 그 희소성으로 돋보인 케이스다. 그런데 완전한 상태로 발견되지 않아서 오히려 더 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이야깃거리를 만들어내었다. 얼마전 방송에서도 소개되어 그 예상 복원도가 공개되기도 했던 밀로의 비너스는 오히려 복원하지 않고 훼손된 그대로 두는 것이 더 예술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합의가 되었다. 그런 결정은 누가 내리는가? 애초에 작가의 의도에 완전히 배치되는, 작가의 의견은 조금도 반영되지 않은, 원작과 시대의 관점이 결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획득한 대표적인 경우가 아니겠는가?

이렇듯 미술 감상 혹은 평가란 나름의 전통 속에서 그 의미와 가치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당대와는 전혀 다른 맥락으로 그 의미를 더 깊이 또는 더 확장하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예술 작품을 감상할 때 너무 주눅들 필요가 없다. 그저 있는 그대로 느끼는 것을 표현할 줄 아는 연습이 더 중요하다. 그렇게 표현해보고, 생각을 말해보고, 그 다음에 정통 해석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즐거움을 누리는 것도 좋다. 그리고 전통적이고 전문가적인 견해와 통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면, 그건 그것대로 또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예술 작품이란 해석에 있어서도 쌍방향적인 자유로움이 보장되어야 한다.

최근 나온 미술 관련 서적들은 특정 컨셉이나 테마를 통해 저자의 아이디어나 참신함 등의 개성이 드러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이 책은 오랜만에 무난한 느낌의 작품들과 작품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돋보이는 느낌을 준다. 보통 사람의 시각에서 느낄 수 있는 작품 감상이나 정보 등을 편안하게 전달하다 보니 그런 인상을 받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한 번 읽고 꽂아두는 책이라기보다는 곁에 두고 생각날 때마다 조금씩 읽기에 적합한 미술 책이다.

* 네이버 「문화충전200%」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