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인간입니까 - 인지과학으로 읽는 뇌와 마음의 작동 원리
엘리에저 J. 스턴버그 지음, 이한나 옮김 / 심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뇌와 인지과학, 인식, 마음 등을 다룬 책들이 연달아 출간되고 있다. 대체로 뇌를 촬영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뇌에 대한 과학적인 탐구가 더 용이해진 데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비슷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각 책들은 저마다의 특징들이 다 있게 마련인데, 그렇다면 이번에 심심에서 출간된 『이것은 인간입니까』의 포인트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인간은 기계인가?’라는 질문이다. 다소 엉뚱하게 보일 수도 있는 이 질문에서 중요한 것은 만약 뇌가 초고성능의 컴퓨터와 같이 완전히 이론적으로 파악되어 그 정체가 드러났을 때, 또 다른 말로는 물질이 의식을 만들어낸다는 것이 사실로 드러나고 그 메커니즘을 완전히 밝혀낸다면 우리는 기계라고 부를 수 있을까,라는 점이다. 그렇다면 의식은 어떻게 다시 정의해야 하는가?

이 책은 마지막 불가사의의 영역이라 불리는 ‘의식’의 문제와 ‘기계’로 대표되는 물질의 관계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역사적으로 의식이 주로 이원론의 관점에서 다뤄졌다는 점과 이에 대항하는 이론으로 유물론이 있음을 소개한다. 이원론에서는 물질계와 정신계라는 두 세계가 존재한다고 여기며, 궁극적으로 물질을 통제하는 보다 고차원의 정신적 존재가 있다고 믿는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유물론자들은 아직까지 수준이 되지 못해 밝혀지지 않았지만 결국 뇌가 의식을 만드는 과정을 언젠가 이해할 수 있으리라 믿고 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프랜시스 크릭의 관점, 다시 말해 의식은 뇌가 계산한 결과로 나왔다는 주장과 안토니오 다마지오가 추측한 ‘경험과 지식의 축적’이 의식을 형성했을 가능성에 주목해보았다. 매우 단순한 차원, 예를 들어 세포 단위에서 쌓인 경험들이 한 차원 높은 수준의 경험을 만들어 내고 이런 과정이 거듭되면서 최고 수준의 경험과 축적의 결과로서 의식이라는 것이 도출된 것 아닐까? 그리고 크릭이 이야기한 뇌의 계산이라는 과정이 이를 다르게 표현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이 책은 의식의 주요한 특징으로 언어와 이해 능력. 의미를 부여하는 것. 자신만의 관점, 정신적 실존, 사적인 내적 경험, 상상력, 추론 능력, ‘자기’(자각)와 자유의지, 정서, 몸에 대한 감각 등을 예로 들고 있다. 다양한 학자들의 견해를 소개하고 있기는 하지만, 저자가 인정하듯 아직 의식을 제대로 연구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조차 정립되어 있지 못하다. 그래서 기존 연구를 토대로 한 다양한 이론들이 서로 경쟁하고 있는 그림이다. 다시 말해 의식과 물질의 관계라는 주제는 가설과 주장의 영역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입니까』(원제: Are you a machine?)는 저자가 17세 때 본인이 쓴 에세이를 바탕으로 나온 책이라고 한다. 본인도 글쓰기에 재능이 있었겠지만 이를 알아보고 책으로 출판하기까지 세심하게 이끌어준 선생님에 대한 이야기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결국 인간이 기계이든 아니든 중요한 것은 이런 스토리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은 인간 고유의 특권이 아닐까?

* 네이버 「리뷰어스 클럽」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