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의 탄생
김민식 지음 / 브.레드(b.read)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두들 원래 의미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좀처럼 그대로 인정하지 못하는 대상이 있다. 바로 ‘집’이다. 우리나라에서 집은 투자 대상으로 더 많이 거론되기 때문이다. 모두가 ‘내집마련’의 꿈을 갖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내가 오래도록 행복하게 살 집이 아닌, 가격이 오르기를 기대하며 여러 번의 매매를 통해 더 큰 수익을 얻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산을 늘리면서 최종적으로 좋은 집에서 사는 그림이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하다 보면 소수의 승리자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빚에 허덕이며 온 삶을 소진하게 되고 만다. 그래서 하우스푸어라는 말도 나온 것 아니겠는가.

이 책은 우리에게 일반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그런 의미의 집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 않다. 이 책은 집에 대해 역사적, 철학적 의미에 더하여 공간의 개념뿐만 아니라 실제 생활에 연결되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까지 다루고 있으며, 비교적 독자들이 읽기 쉬운 일상의 언어로 탐구한다.

건축 개념이 들어서기 이전의 인류는 자연환경에서 적당히 몸을 피하고 쉴 곳을 발견했다. 동굴 같은 장소가 그에 해당한다. 그러다가 우리가 학교에서 보았던, 선사시대의 움집 같은 것이 만들어졌다. 디스커버리채널 같은 데서 아무 도구나 지원 장비 없이 내던져진 탐험가가 주변의 자연물을 이용해 셸터를 만드는 그런 방식이었을 것이다. 이 책은 이런 사례를 통해 인류의 초기 조상들이 경험했던 최적의 삶의 공간에 대한 감각이 일종의 본능적 그리움으로 내면화되어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집은 인간에게 위로의 공간이기도 하다. 피로한 몸을 쉬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모된 정신적 에너지를 재충전하는 안식의 장소이기도 한 것이다. 요즘처럼 외부 환경과 차단된 인공적 고요함이 아니라, 자연과 연결된 집의 의미를 돌아본다. 마치 시골집이나 마당 있는 집에서 경험할 수 있는 비 오는 날의 빗방울 떨어지는 소리, 바람 소리, 나무라도 한 그루 심어져 있으면 거기에서 떨어지는 열매나 떨어지는 잎사귀 소리가 만들어내는 치유의 힘이 있는 고요함을 상기시킨다.

공간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고 변화를 일으킨다. 그것은 ‘억제’나 ‘여유’의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현명한 사람은 자신의 존엄과 가치를 최적으로 지킬 수 있는 적정 공간의 면적을 확인하고 실제 삶에 반영한다. 너무 큰 집에 살았던 사람은 집 사이즈를 줄인다든지, 집 구성원의 형편에 따라 가장 필요한 집의 형태를 구현한다. 저자가 발견한 최적의 생활 면적은 12평이라고 한다.

이 책은 저자의 사색이 담긴 문장들 사이사이에 다양한 현대 건축물도 일러스트와 함께 소개하고 있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현대 건축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건축물도 애초 설계의 목적은 사람이 사는 것이었는데, 그런 역사적 건축물들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관광지로 변해 있는 것이 대부분이라는 사실이다. 살아야 되는 집이 ‘보는 집’으로 변질되어 있다는 점은, 마치 앞에서 언급했던 우리나라의 집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겹쳐 보인다.

나무로 집을 짓는 것을 업으로 삼는 저자의 관점에서 집에 대한 고민과 생각의 흔적이 이 책을 가득 채우고 있다. 특히 환경 오염 및 자원 고갈과 관련하여 유일한 미래 대안으로 지속 가능한 친환경적 재료는 나무뿐임을 강조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세월이나 재난에 대한 내구성도 점점 좋아지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언젠가 나도 내 자신의 몸과 마음을 살려주면서도 이웃과 환경, 지구의 미래를 돌보는 데까지 동참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스위트 홈’을 갖고 싶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된다.

* 네이버 「리뷰어스 클럽」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