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하는 유전자 - 삶의 방향을 바꾸는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에 대하여
요아힘 바우어 지음, 장윤경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전자를 연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인간의 설계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유전자의 특성과 원리를 연구하여 잘 이해하게 된다면 그 다음엔 무엇을 할 것인가? 우리는 어떤 현상이나 존재가 발견되고 보완되고 일반적인 사실로 인정되는 지식의 여정의 끝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간과하는 경향이 많은 것 같다. 예를 들어 앞서 질문한 것처럼 유전자를 비롯한 생명공학 분야는 사람들에게 놀라운 사실을 알려주었으며 지금도 많은 새로운 것들을 통해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이해를 계속 높여가고 있다. 그런데 그렇게 해서 어떻게 하겠다는 거지?

리처드 도킨스 같은 사람들의 주장은 정말 의아스러울 때가 많다. 목적이 종교를 말살시키려는 것 같기도 한데, 그래서 어쩌겠다는 건지 알 수가 없다. 종교적 진리가 사실이든 아니든 중요한 건 사람들을 뭉치게 하고 서로 협력하게 하고 공존하게 하는 것, 다시 말해 그런 문화들 중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종교의 의미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역할을 상실시키고 그 자리를 인간의 이성이나 합리적 사고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 너무 비효율적이다. 이미 그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 대상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려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다시 말해 인간에게 있는 이중적 본성, 선과 악 또는 이기심과 이타심의 균형을 파괴하려는 것과 다름 없는 악랄한 시도다. 유전자의 목적이 생존과 대를 잇는 것이라면 당연히 상황에 따라 이기적일 수도 있고, 이타적일 수도 있다. 하지만 단 하나의 개체로 살아가는 것이 불리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고, 그것 때문에 기나긴 역사 속에서 유전자가 선택한 협력이나 공감의 전략은 꽤 성공적으로 자리 잡은 것 아닐까? 그리고 그것은 가장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인간성이라는 가치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이 책은 인간이 도덕적 존재로서 선을 지향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받아들인다면, 과연 그것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탐구하고 있다. 저자는 그 능력 유전자 단계에서 어느 정도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고 있다. 유전자가 보여주는 협력자, 소통가로서의 특성은 인간으로 하여금 결과적으로 사회친화적인 삶을 추구하도록 만들었다고 파악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연구 결과를 인용하는데, 한마디로 유전자는 좋거나 나쁜 유전자로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좋은 유전자, 나쁜 유전자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외부 영향을 통해 좋거나 나쁘게 바뀔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한동안 멘델의 유전 법칙이 잘못 적용되면서 유전자가 결정론적 요인으로 오해되고 있었지만, 점점 그것이 아니라는 점을 밝히는 대목이 눈길을 끌었다.

이 책은 마음과 몸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정신과 물질의 관계성이 과학적으로 점점 입증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삶의 자세는 유전자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면서, 선한 행동이 행복한 삶이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과학적 근거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공감과 협력, 상호소통이 생존에 유리하다고 판단한 유전자의 선택은 그 반대의 선택을 한 유전자들보다 더 우위에 있으면서 인간 사회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인류가 멸망하지 않고 오늘날까지 종을 유지해올 수 있었던 것은 아닐까? 비록 완전한 평화는 이룰 수 없을지라도 말이다.

* 네이버 「문화충전200%」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