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으로 생각하기 - 생각의 그릇을 키우는 42가지 과학 이야기
임두원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가올 미래에 인류를 먹여 살릴 핵심 수단은 과학기술이라고 한다. 자연 상태에서 생산되는 음식이나 기타 에너지로 삼을 수 있는 것들이 더 오래 건강하게 살게 된 인간을 감당할 수 있는 데 한계가 있다. 이것을 극복하게 한 것이 바로 과학의 힘이었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많은 사람들에게 과학에 대한 환상을 심어주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과학적 사고방식이라는 것은 끊임없는 의심과 검증이 가장 핵심인데, 오늘날 과학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는 어쩐지 비이성적인 종교를 대하는 것처럼 절대적 신뢰를 보인다는 것이다. 과학에 대한 인식을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하지만 너무 어려워서는 곤란하다. 적절한 대중과학교양서는 그래서 필요하다. 『과학으로 생각하기』는 그 역할을 해내기에 적당해 보이는 책이다.

인간의 수명 문제를 개인의 수명 연장과 집단 존속을 위한 자손 생산의 두 가지 전략적 관점에서 풀어낸 것부터 흥미롭다. 즉 현재 인간의 평균 수명은 오랜 기간 인류의 유전자가 이 문제를 두고 고민하는 가운데 현재 기준으로 최적의 상태라고 판단된 결과라는 것이다. 결국 죽음은 필연적이라는 것인데, 이것을 거부하여 모든 개체가 영원에 가까운 삶을 살게 된다면 번식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멸종하거나, 너무 많이 번식하여 치열한 경쟁 가운데서 멸종하거나 결과는 같기 때문에, 죽음을 받아들인 선택은 합리적이라는 견해다.

후회하는 감정을 통해 우주와 시간의 흐름을 조명하는 방식도 눈길을 끌었다. 사건이 발생하고 그 일에 대해 후회한들 시간을 되돌릴 수 없는 것처럼, 우주의 탄생과 변화, 그에 따른 시간의 방향도 되돌아가는 흐름이 없다는 것이다.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팽창하고 있는 우주의 신비함을 일상의 감정과 연결해 설명하는 과정이 참신하고 재미있다고 느꼈다.

같음과 균형을 선호하는 자연의 원리를, 소금에 절인 배추에서 물이 빠져나오는 삼투압 현상과 연결해 설명하는 부분은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포인트였다. 세포 안의 농도와 세포 밖의 농도를 일정한 정도로 유지하려는 생명체의 특성에서 균형을 찾고자 하는 자연의 원리를 이끌어낸다. 삼투압 현상도 바로 이런 특성을 반영한 대표적 현상이다. 동적 균형의 대표적 예는 신진대사다. 이를 통해 균형 잡힌 삶, 삶의 균형이라는 인문학적 가치 지향과도 연결시키는 저자의 발상은 과학의 원리만큼이나 놀랍다.

인간이 영생을 할 수 있다면? 인간의 영생 가능 여부는 아주 많이 다뤄진 주제이긴 하지만,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런데 문제의 핵심이 육체의 노화가 아니라 정신의 노화에 있다는 점에서 영생 문제는 더 깊이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몸이 생생하더라도 정신이 성숙 단계를 지나 모든 것을 지루해하거나 해탈의 경지에 이른 상태라면 이 불균형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그렇다고 그때까지 살아왔고 누적된 의식을 초기화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때문에 영생 기술의 발전이 축복일 수만은 없다는 저자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이 책은 이처럼 우리의 일상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상황이나 목격하는 현상에 대해 올바른 과학적 접근법을 실천함으로써 지식을 늘려가는 즐거움을 준다. 과학의 세부적 지식과 정보는 금방 습득할 수 없을지라도, 어떤 태도와 방법으로 과학적 사고방식을 일상에 접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 네이버 「리뷰어스 클럽」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