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와 NFT, 무엇이 문제일까? - 가상자산은 신기술인가 신기루인가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12
김승주 지음 / 동아엠앤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암호화폐나 블록체인은 이제 낯설지 않다. 미디어에서 많이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익숙한 단어들이다. 하지만 익숙한 만큼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다는 점도 그대로다. 주로 부의 증식 수단으로 많이 이야기되기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이 높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이것의 개념이라든가 작동 원리, 기능 등에 대해 파고들어가면 이해하기가 너무 어려워 그저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적인 부분에만 관심을 둔 채 머무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 뜨고 있는 NFT도 마찬가지다. 벌써부터 폭등과 폭락의 드라마가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이 책은 우리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의 동작원리, 활용 방법, 인공지능과 메타버스와의 관계가 무엇인지까지 다룬다. 비트코인의 탄생 배경을 다루는 부분은 꽤 유익하다. 왜냐하면 우리가 여러 용어들로 인한 빠진 혼란을 정리해주기 때문이다. 전자화폐가 가장 상위 개념이다. 그리고 발행주체와 통제방식에 따라 가상화폐, 암호화폐, CBDC 등으로 불린다. 이를 다시 정리해보면, 전자화폐의 종류는 가상화폐(중앙집중형, 기업-민간단체), 암호화폐(탈중앙형, 기업-민간단체), CBDC(중앙집중형, 탈중앙형, 정부)로 분류할 수 있다.



비트코인의 탄생은 프라이버시, 즉 개인정보보호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비트코인 개발의 사상적 배경은 ‘사이퍼펑크’라는 집단의 활동과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기존의 금융시스템을 불신한다. 금융위기 때 정부가 함부로 돈을 대출해주어 부실한 금융기관들을 구제했던 기억은 우리도 거의 동일하게 갖고 있다. 이들도 이런 이유로 전통적 금융기관에 대한 신뢰도 약화와 불신이 더 커졌고, 익명성과 탈중앙화를 목적으로 하는 운동을 일으켰다.

전자화폐라는 개념은 처음에는 중앙의 통제를 전제로 한 익명성이 높은 화폐의 개념으로 창안되었다. 뭔가 앞뒤고 안맞는 것 같긴 한데, 아무튼 이러한 전자화폐는 디지털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하지만 복제가 쉽다는 점 때문에 만드는 게 쉽지 않았다. 이것을 실현 가능하게 한 것이 블록체인 기술이며, 그것이 구현된 전자화폐가 바로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인 것이다.

비트코인은 온라인상의 현찰이며 익명성이 높다. 비트코인의 존속을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의 가장 큰 특징은 창시자, 개발자가 없어도 구성원들의 동의에 의해 자발적으로 개선되고 발전해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의 메커니즘이 ‘유동민주주의(액체민주주의)’를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점이다. 대의민주주의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는 요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직접민주주의와 대의민주주의의 장점을 겸비한 ‘유동민주주의(액체민주주의)’는 기술적 한계 때문에 현실화되기 어려운 아이디어에 불과했으나 그것이 어떻게 실현 가능한 기술적 기반을 블록체인 기술로부터 확보할 수 있게 되었는지 설명해주는 내용이 매우 흥미롭다. 다시 말해 대의민주주의에서 유동민주주의로 오늘날 주류를 이루고 있는 민주주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전망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전자화폐의 발전의 중심에는 중앙집중에 대비되는 분산 경제의 핵심 플랫폼이 금융과 재정운용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는지 그 여부를 확인하는 데 있다. 비트코인 혹은 이더리움은 단순히 부의 증식 수단으로서만 주목할 게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삶을 좌우하는 경제의 기반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보다 공정하고 정의로운 시스템으로 거듭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을 통해 전자화페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생각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 네이버 「리뷰어스 클럽」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