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 - 선택과 모험이 가득한 인류 진화의 비밀 속으로
이상희 지음 / 우리학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고인류학에 대해 다루고 있다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아주 오래 전의 인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먼 과거에 살았던 존재를 연구하기 때문에 발굴된 화석 등의 자료를 토대로 추정하고 검증하면서 전체 틀을 잡고 내용을 채워야 하는 특징이 있다그런데 지금까지 서술된 대부분의 역사서들이 그렇듯 고인류학의 연구 경향에도 남녀 차별의 편견이 깃들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먼 과거의 인류 혹은 인류와 관련이 있는 존재들도 남녀의 역할을 구분되어 있고남성을 여성보다 우월한 이미지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인간다움이 무엇인가를 몇 가지로 나눠 이야기를 풀어낸다먼저 두 발 걷기와 슬로 라이프를 든다두 발 걷기는 다른 인류 계통혹은 유인원들에게서는 볼 수 없는 인류의 첫 번째 특징이라 할 수 있다보다 넓은 시야와 양손의 사용이 자유로워진다는 이점을 살린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슬로 라이프로 알 수 있는 것은 인간의 성장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그에 따라 생애는 늘어나게 되었다는 것이다산모의 출산 과정을 통해 인간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회적 동물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밝힌 부분도 눈길을 끈다원숭이의 경우 아기를 낳을 때 조용한 곳에 혼자 가야 불안을 느끼지 않고 출산을 할 수 있는 반면 인간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쪽으로 진화했다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불안을 느끼는 것이다태어난 아기는 공동체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조건에서 성장한다이렇게 협력하는 방식으로 생존율을 높여온 측면을 볼 수 있다.

 

세 번째 조건은 큰 두뇌. 200만 년 전쯤 지역에 따라 빙하기와 건조하고 습윤한 시기가 반복되는인류가 살아가기 어려운 환경이 두뇌의 용량을 늘리는 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연구되었다즉 한 가지 방법으로만 살 수 없게 된 인류는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하는 능력을 길러야 했을 것이다다시 말해 기후의 주기적인 변화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를 축적하게 했을 것이고 이 정보 축적의 기능이 발달하면서 두뇌 용량이 늘어나는 한 요인으로 보는 것이다이 책의 3장은 전반적으로 사회적 두뇌 가설의 내용을 다룬 것으로 보면 된다.

 

인간다움의 네 번째 조건은 도구 사용’, 다섯 번째 조건은 긴 다리이 둘은 다른 특징인 두 발 걷기와 연결되는 특성이다모두 좀 더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는 진화의 특징들이다도구의 사용은 더 나은 조건의 음식 섭취 문제긴 다리는 더 나은 생존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이동 전략과 연결된다그리고 이 전략들의 수행을 위해서는 두뇌의 발달이 필수이기 때문에 사실 이 책에서 거론하는 모든 인류의 특징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에 따르면 인류의 계통이 나타나기 시작한 건 약 500만년 전쯤부터이고이후 살아남은 대표적인 세 가지 생존 전략이 특징이다먼저 뭐든지 먹을 수 있는 막강한 저작근과 키 1미터에 500cc 두뇌를 가진 오스트랄로피테쿠스/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같은 1미터 키에 석기를 만들어 세밀하게 사용할 줄 알았고 작은 저작근에 600cc 두뇌를 가진 호모 하빌리스석기로 사냥이 가능했고 고기 섭취가 자유로웠으며 900cc 두뇌에 180센티미터의 키를 가진 호모 에렉투스로 크게 나눌 수 있다현생 인류와 가장 가까운 특징은 호모 에렉투스가 보여주고 있다.

 

지금 인류를 호모 사피엔스라 부른다다른 인류는 멸종했다하지만 이것이 현생 인류의 유일한 생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최근 유전자 생명공학의 발달로 다른 인류 계통 간의 교류가 확인되면서 알게 된 호모 사피엔스 안에 있는 다양성의 근원은 현재 우리 인류가 서로 다른 구성원이나 계층집단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지녀야 할지에 대한 인류학적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네이버 「리뷰어스 클럽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