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켄슈타인 (무삭제 완역본) - 현대판 프로메테우스 ㅣ 현대지성 클래식 37
메리 셸리 지음, 오수원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5월
평점 :
인공지능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인간이 자신이 만든 인공지능에게 지배당한다든가, 아니면 최소한 인공지능이 인간과 대등한 입장에 놓인다든가 하는 등의 이야기들이 다양한 형태의 문화 콘텐츠로 만들어지고 있다. 과학계에서는 아직 지나치게 앞서나가는 우려라고 하지만 이미 인문학과 문화예술의 필터를 거친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에 대한 전망은 기대와 우려가 뒤섞인 채 사람들 안에서 미래에 대한 일정한 전망들을 형성하고 있다.
소설 『프랑켄슈타인』에 대한 이미지는 참으로 많은 변주를 통해 대중들에게 다양한 인상을 주고 있었으나 한 가지 공통된 것은 ‘괴물=프랑켄슈타인’이라는 공식이었는데, 막상 이 소설을 읽으면서 확인했던 가장 잘못 알고 있었던 사실은 괴물은 특정한 이름이 없었고, 프랑켄슈타인은 그 괴물을 만들어낸 천재 과학자의 이름이었다는 것이다. 프랑켄슈타인이라는 단어의 어감이 괴물의 느낌과 너무 잘 맞아서였는지 한 번도 의심해보지 않았다.
어린 시절 고대과학의 초자연적 매력에 강하게 사로잡혔던 프랑켄슈타인은 도시로 나가 자신의 재능을 꽃피우며 학자로서 입지를 탄탄히 다진다. 훌륭한 스승과의 만남으로 현대 자연과학의 지식과 실력을 겸비해간 프랑켄슈타인은 연구 과정에서 물체에 생명을 부여하는 방법을 발견하게 된다. 프랑켄슈타인의 생명체를 창조하고픈 욕망과 열정은 이미 죽은 여러 시체들의 부위들을 조합하여 신체를 만들고 거기에 자신이 발견한 방법으로 생명을 불어넣는 데 성공하도록 이끈다.
하지만 결과물을 본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이 아름다운 피조물이 아닌, 극도의 고통과 절망만을 느끼게 하는 흉측한 괴물을 만들었음을 깨닫고 도망가버린다. 이후 괴물은 일말의 희망을 갖고 사람들 틈바구니에서 살아가보려 했으나 점점 치욕적인 삶을 견뎌야만 하는 상황이 되고, 마침내 만난 자신의 창조주 프랑켄슈타인 박사에게 자신과 동일한 형상의 짝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한다. 요구에 응한 프랑켄슈타인은 거의 완성 단계를 앞두고 돌연 그 새로운 피조물을 파괴해버린다. 새로 만든 그 피조물이 어떤 성향의 존재가 될 지 확신할 수 없었고 두려웠기 때문이었다.
결국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도, 자신의 반려자도 얻을 수 없었던 괴물은 프랑켄슈타인 박사가 사랑하는 주변 인물을 하나하나 살해하고 사라져버린다. 결국 자신이 만든 피조물에게 복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서 추격은 시작되지만, 등장인물들 중 하나 혹은 독자 누구에게도 만족스러운 결말을 기대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소설 속 괴물은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버림을 받고 절망스러운 상태에서도 어떻게든 희망적으로 살아내보려는 의지를 보인다. 이것이 이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다. 책도 읽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 힘을 쓰고, 어울려보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그의 흉측한 외모만으로 사람들은 모든 평가를 뒤집는다.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천재적 광기는 결국 불완전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 기술의 발전의 위험과, 그 성과가 일으킬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인류의 두려움, 그리고 존재의 내면을 통찰하지 못하고 겉으로 드러난 모습만으로 판단해버리는 어리석음, 무지, 무책임함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몇몇 인공지능 캐릭터들이 자신들의 학습을 토대로 인간의 어둡고 추잡한 내면을 그대로 반영하는 사태가 일어나면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우려는 윤리적인 문제까지 포함하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인류는 비록 소설의 인물이기는 하나 프랑켄슈타인이라는 분명하고도 상징적인 선례가 있기 때문에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을 기회가 있다. 그런 차원에서 『프랑켄슈타인』은 문학의 영역을 뛰어넘는 가치와 의미가 있는 작품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 네이버 「문화충전200%」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