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이데거, 제자들 그리고 나치 - 아렌트, 뢰비트, 요나스, 마르쿠제가 바라본 하이데거
리처드 월린 지음, 서영화 옮김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1년 3월
평점 :
‘존재와 시간’이라는 저서로 그 내용은 잘 알지 못한다 해도 이름만은 들어본 적이 있는 철학자 하이데거, 그와 한나 아렌트와의 이야기 정도만 들어왔던 나는, 이 철학사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하이데거라는 철학자가 나치에 충성하고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작업을 했다는 기록에 너무나도 놀랐다. 그가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적 편견에 사로잡혀 있었다는 사실도 처음 알았다. 심지어 참혹한 학살 사건의 희생자인 유대인들에 대해 그들이 그들 스스로 자살한 것과 다름없다는 뉘앙스의 발언이나, 서구 근대성의 쇠퇴에 대한 책임까지 뒤집어씌우는 것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정신 세계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서구 합리주의의 한계, 그것은 세계대전이라는 역사가 증명하였다. 독일의 저명한 철학자는 그것을 극복하고자 실존철학의 위대한 논리를 전개했고, 뛰어난 제자들이 그 지성의 세례를 받았다. 그러나 이 위대한 철학의 유산은 집단학살을 초래한 전체주의적 독재와 악마적인 철학적 동맹을 맺는 것으로 이어졌다.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이 결단성이라는 속성에 근거해 윤리적 결핍을 정당화하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시간이 흐른 뒤에도 반성하지 않고 회피하고 다른 말로 둘러대는 모습에서 나는 서정주 시인이 떠올랐다. 물론 역사적 비중이나 그 영향력에서 대등하게 비교할 바는 못 되지만. 개인의 능력과 윤리적 측면이 현실에서 모순되게 나타날 때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건지? 하이데거의 경우에도 우리는 경험할 수 있다.
하이데거의 학문적 유산을 열렬히 추종하는 사람들은 역사 왜곡도 서슴치 않는 것 같다. 그것을 전면적으로 인정하면 철학사에서 하이데거의 지위는 완전히 땅에 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곧 그들 자신의 정체성 추락으로 이어져서일까? 그러나 저자가 공개한 하이데거의 ‘검은 노트’의 내용은 더 이상 하이데거의 용서할 수 없는 정치적 성향을 덮어둘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하였다. 이런 논란은 현재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 학자로서의 하이데거와 나치에 협력한 하이데거라는 이중성을 어떻게 정리해야 할지에 대한 문제다.
한편 하이데거의 제자들은 유대인의 피를 이어받았지만 실존적으로는 유대인이라 하기 어려워 보인다. 독일의 문화와 예술 정신에 매료된, 여호와 신앙을 잃은 디아스포라 유대인과 같은 한나 아렌트, 한스 요나스, 카를 뢰비트, 허버트 마르쿠제 - 그들은 각기 철학의 한 페이지를 당당히 장식할 만큼 뛰어난 철학자들이지만, 평생 스승의 잘못된 선택을 어깨에 짊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혈통적인 측면을 제외하면 사실상 독일인에 가까운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하이데거의 변절은 유대인으로서 받는 충격보다 윤리적 측면에서 더 컸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책에서는 유대인, 유대주의에 대한 언급이 많이 되고 있지만, 사실상 이들이 말하는 유대주의가 실제 유대인의 역사에서 흘러온 여호와 신앙과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그냥 포장지만 유대주의일 뿐, 유대 역사에서 파생된 새로운 형태의 서구 철학으로 봐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 네이버 문화충전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