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빵을 훔친 사람은 징역에 처한다.”라는 법은 동등하지 않다.

부자는 빵을 훔칠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 법은 가난한 사람에게만 적용된다. 이처럼 개인이 갖는 권리의 내용은 그 개인이 속해 있는 성별, 인종, 계급 등 사회적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인권은 사회의 권력 관계와 관련 없이 추상적, 초월적으로 본래 존재하는 개념이 아니라, 구성되고 쟁취되는 경합적 가치이다. 인권은 언제나 피억압 집단의 개입을 기다리는 과정적 개념인 것이다






한쪽으로 치우친 것은 죽은 것이다. 살아있으려면 경계에 존재해야 한다. 보통 사람들은 이 개념을 뜨뜨미지근한 이도저도 아닌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것은 아주 예민하고 민감하게 느껴야 하는 것이고, 융통성을 발휘 해야 하는 것이다. 양 극단에 치우친 생각이 조화로운 세상에 방해가 된다고 느낀다.



"빵을 훔친 사람은 징역에 처한다."라는 법은 동등하지 않다.
부자는 빵을 훔칠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 법은 가난한 사람에게만 적용된다. 이처럼 개인이 갖는 권리의 내용은 그 개인이 속해 있는 성별, 인종, 계급 등 사회적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인권은 사회의 권력 관계와 관련 없이 추상적, 초월적으로 본래 존재하는 개념이 아니라, 구성되고 쟁취되는 경합적 가치이다. 인권은 언제나 피억압 집단의 개입을 기다리는 과정적 개념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베르 카뮈는 인간의 실존을 '시지프 신화'를 예를 들어 설명했다.


신들은 시지프에게 끊임없이 산꼭대기에 바위덩어리를 굴려 올리게 하는 형벌을 내렸다. 그러나 돌덩이는 무거운 무게로 인해서 그 꼭대기에서 다시 굴러 떨어지곤 하였다. 무의미 하고도 희망 없는 일보다 더 끔찍한 형벌은 없다는 것이었다.


시지프 신화에서 큰 바위를 산 위로 끊임없이 올리는 것은 부조리하고 모순으로 가득한 삶, 우리가 피할 수 없는 삶의 모습이다. 신은 의미 없이 바위를 옮기는 것을 통해 고통 받기를 원했다. 하지만 카뮈는 여기서 신의 결정을 조롱한다. 끊임없이 돌을 옮겨야하는 무의미하고 힘든 영겁의 고통, 즉 부조리를 직시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돌을 옮기는 행위에 의미를 부여한다. 그랬을 때, 돌을 올리는 행위는 좌절과 절망의 행위가 아니라 의미 있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오늘도 우리는 여느 때와 같이 돌을 옮겨야 한다. 내일도.. 모레도.
하지만 매일 돌을 옮겨야 한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의미를 부여한다면 우리는 극복할 수 있다. 무의미함을, 부조리함을.


인간은 ‘삶이란 의미가 있는 것인가? 없다면, 우리는 삶을 어떻게 보고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라는 생각을 할 수 있고, 의지대로 행동할 수 있으니까.


밀란 쿤데라 <무의미의 축제>의 글이 생각난다.


“오래전부터 말해 주고 싶은 게 하나 있었어요. 하찮고 의미 없다는 것의 가치에 대해서죠. (중략) 하찮고 의미 없다는 것은 말입니다, 존재의 본질이에요. 언제 어디에서나 우리와 함께 있어요. 심지어 아무도 그걸 보려 하지 않는 곳에도, 그러니까 공포 속에도, 참혹한 전투 속에도, 최악의 불행 속에도 말이에요. 그렇게 극적인 상황에서 그걸 인정하려면, 그리고 그걸 무의미라는 이름 그대로 부르려면 대체로 용기가 필요하죠. 하지만 단지 그것을 인정하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고, 사랑해야 해요,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해요. 여기, 이 공원에, 우리 앞에, 무의미는 절대적으로 명백하게, 절대적으로 무구하게, 절대적으로 아름답게 존재하고 있어요. 그래요. 아름답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주제는 종종 내 다이어리 페이지를 채웠다.


신체 위에 체현된 가치는 개인의 정체성을 드러내 준다는 생각에, 나는 외모꾸미기란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에서 살아남기 위함.' 이 이상의 가치를 찾고 싶었다.


"어떻게 차려입어야 자신의 미적 욕구를 실현하면서도 예술과 철학과 연기를 사랑하는 정신을 잃지 않을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늘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내지 못했고, 나의 스타일과 정신은 부조화를 이루며 정체성을 흐트러뜨리고 있었다. 
그러니 이 책을 발견 했을 때는 마치 보물섬을 찾은 기분이 아니었겠나. 


-나의 'spirit'을 담은 스타일-을 찾는데 도움을 얻길 바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말, 마음에 드는 시를 발견했다. 

사랑이란,가장 낮은 곳에 존재하는 것. 
배우는 가장 낮은 곳에 존재하는 사람.



낮은 곳에 있고 싶었다.
낮은 곳이라면 
지상의 그 어디라도 좋다. 

찰랑찰랑 고여들 네 사랑을 
온 몸으로 받아들일 수만 있다면
한 방울도 헛되이
새어나가지 않게 할 수 있다면

그래, 내가 낮은 곳에 있겠다는 건
너를 위해 나를 온전히 비우겠다는 뜻이다.
나의 존재마저 너에게 
흠뻑 주고싶다는 뜻이다.

잠겨 죽어도 좋으니 
너는 
물처럼 내게 밀려오라.

이정하, 낮은 곳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글쓰기를 좋아한다.
내 생각을 글로 표현한다는 것, 그리고 글로 생각을 타인과 공유한다는 것은 아주 의미있고 기쁜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글은 나의 생각의 깊이와, 오류를 여실히 드러나게 하지만 그것이 걱정되어 글쓰기를 피하고 싶진 않다. 

그런데 내 생각을 글로 표현해줄 어휘가 내 머리 속에 들어있지 않을 때가 종종 있다.
분명히 내가 생각하는 그것을 표현할 어휘가 존재할텐데,  나의 어휘력으론 내 생각을 온전하 표현할 수 없다는 걸 느낀다.  얼마나 많이 읽고. 많이 써야 할까?
새삼스럽게 세익스피어의 위대함이 뼈속까지 스며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