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누구나 이기적이다.
누구나 나를 위해서 살고, 나를 위해서 선택한다.
세상에 남을 위해서 사는 사람도 많은데 무슨 소리냐고? 그 사람들도 결국 자신이 행복해서 그것을 선택한 것 아닌가. 그들은 남을 위하면서 느껴지는 보람, 성취감등이 자신을 행복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그런 일을 선택한 것이 아닐까?
그럼 아주아주 개고생하면서 아무도 몰래 남을 돕는 사람은 뭐냐고할 수 있겠지. 그것 또한 자신이 극복을 통해 얻는 무엇가가 자신에겐 행복하기에 선택한 것일 거다.
등산을 싫어하고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은 왜 등산을 좋아하기로 선택했을까? 힘들지 않아서? 체력이 아주 좋은 사람은 힘들지 않겠지만 대부분은 비슷하게 힘들것이다. 하지만 등산하는 이유는 힘든 것보다, 자신을 극복하면서 느끼는 정상에서의 쾌감이나 자연의 경치 등등에 더 행복을 느끼기 때문에 등산하면서 오는 힘듦도 감수하는 것이고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가 무엇을 하겠다는 선택은 나의 행복판단 기준으로 생각했을 때 조금더 행복하겠다라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그럼 문제 될게 없어보인다. 우리가 좋게느껴지는 걸 선택하면 장땡이네? 하지만 우리 삶은 쉽지가 않다. 그렇다면 뭐가 문제일까? 중요한 것은 행복하다고 느끼는 판단 기준이다.
내가 생각하는 행복판단 오류의 이유는 두가지정도가 있는데, 첫번째는 내가 하는 선택의 이유가 내부가 아닌 외부에 있는 것이다. 무슨말이냐 하면, 내가 사랑하는 가난한 남자가 있고, 사랑이 없지만 조건이 맞는 부자 남자가 있다. 요즘이라면 사랑보단 조건이 선택의 기준일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돈이 많은 남자와 결혼하면 부모님께 자랑스러운 자식이 될 수 있고 남들에세 부러움을 살 수있고, 남들 앞에서 떳떳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이유를 보면 어디에도 날 위한 것은 없다. 남이 날 어떻게 봐야 , 인정받아야 행복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건 정말 슬픈 일이라 생각한다. 나의 행복이 외부의 판단에 의해 좌지우지 되니까 말이다. 예는 더 많다. 내가 하고싶은 일은 박봉이고, 부모님등 삼자가 인정할 만한 일은 대기업, 공기업 사원이나 '사'자가 붙는 직업이다. 이런경우에 대부분은 내가 하고싶은 일은 마음속 깊은 곳에 묻어두고 남들이 원하는, 남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일을 선택한다. 그런 직업이 정말 대기업에 희생하는게 행복해서라던지 아픈이들을 고쳐주는게 행복해서, 남을 변호하는 일이 보람차서 선택했다면 행복할 수도 있겠지만, 전자의 기준이라면 대기업사원, 의사, 검사, 변호사는 다 행복해야할 것이다.. 그런데 과연 박봉이지만 하고싶은일을 하며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보다 행복하다고 할 수 있을까? (판단은 각자에게..)
그렇다면 우리가 선택하는 판단의 기준을 내부에서 찾아야하는데, 이것또한 쉽지않다. 왜냐하면 외부에서 내 삶을 내버려두지 않으니까 말이다. 특히 우리 삶에 관여를 가장 많이 하는 사람은 부모님이다. 내가 대학을 선택하고 직장을 선택하고, 결혼 상대자를 선택할 때마다 부모님의 영향이 아주 크다. 부모님이 원하는 대학을가고, 부모님이 원하는 직장, 부모님이 원하는 결혼.. 그 이외에도 수없이 많을 것이다. 우리는 왜 못벗어날까? 독립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독립하지 못하면 부모님께 끌려다니는건 당연한일이다. 아니 하라는대로 해야만 한다. 부모님이 우리에게 투자한 게 있으니깐. 집나가면 개고생. 그말이 딱 맞다. 개고생하기 싫으면 내가 하고싶은 일을 접어두고 부모님 뜻대로 살아야 맞는거고, 거기에 반항할거면 개고생을 각오하고 독립을 해야한다. (마음 넓은 부모님을 만나서 하고싶은 걸 존중해준다면 금상첨화겠지만 대부분 현실은 OTL...) 등따신 집에서 부모님 뜻대로 사느냐, 집나가서 돈없이 개고생하고 내가 하고픈일을 하며 살 것이냐. 이것또한 각자가 선택한 일이지만, 단 하나뿐인 인생, 길지도 않은 인생을 진정 나를 위해 산다는게 더 가치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행복판단오류 두번째 이유는 남을 해치는 일이 결국 나에게 해가 된다는 것을 모른다는 것이다. 누군가 날 모욕주고 굴욕시켰다. 나는 이사람을 죽이고 싶은 마음이 들지만 죽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죽이는게 나에게 오히려 해가 될거라는 것을 아니깐. 하지만 진짜 죽이는 사람도 있다. 그 순간의 감정이 우리를 지배하기 때문이다. 감정에 의한 판단은 자신에게 해를 끼치기 딱 좋은 판단이다. 뭐 이런걸 알아도 무슨소용이 있을까? 악의 감정이 날 사로잡으면 다 까먹어버라는 것을.. 어른이라면 이런 감정을 컨트롤 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남을 해치면 결국 내가 손해본다는 것을 아는데, 해칠 사람이 있을까? 이것을 안다면 누구나 이타적 이기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이기적이다. 정말 위대한사람도 이기적이었다. 진정 나를위한, 남을위한 이기심 말이다. 배부르고 지식넘쳐나는 이시기에 우린 행복이 고프다. 내가 뭘 원하는지 모른채 나를 잃어가고 있는 모습때문에 행복이 더 고프다.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발견하고 독립하고 실천하기는 아주 어렵겠지만, 진정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나와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진다면 행복이 덜 고프지 않을까? 나와 당신 모두를 위한 이기심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