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화와 칼 - 일본 문화의 틀
루스 베네딕트 지음, 김윤식.오인석 옮김 / 을유문화사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국화와 칼, 일본에 대해 관심이 있거나 지식이 있다는 사람 치고 모르는 말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그 내용을 제대로 접한 사람은 몇이나 될까. 나 또한 대학생 때 일본 여행을 가기 전에 한번 들춰보았다는 사실 외에는 전혀 기억나는 내용이 없었다. 이제 또 다른 동기로 일본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일본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책을 찾던 중 이 책을 다시 집어들었다.
이 책은 일본을 한번도 방문해 본 적이 없는 문화인류학자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미국 정부의 특명을 받고 연구하여 펴낸 책이다. 이 두가지 사실 만으로도 제대로 연구하고 썼을 리가 있나 하는 의구심이 드는데, 이 책의 서문과 1장만 읽고나면 자세가 조금 달라진다. 저자는 학자다. 동기는 비록 외재적인 것이었고 국가적 요구에 의한 것이었으나, 학문하는 사람으로써 그는 학문적 양심을 가지고 철저히 학문적으로만 접근하려고 했음을 거듭 밝힌다. 조금은 지루하게 느껴지는 연구방법에 대한 긴 소개도 이것을 반증한다. 그래서 이 책은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문화인류학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접해볼만한 책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일본의 문화를 특징짓는 독특한 사고방식으로서 모든 것을 일정한 자리에 위치시킨다는 것을 줄기차게 강조한다. 사람과 사물이 저마다 자신의 자리가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그러한 거부할 수 없는 자리와 그 순서를 만드는데 대한 책임의식을 일본(인?)은 강하게 느낀다. 이것이 일본이 제국주의 침략을 정당화시킨 논리의 밑바탕이라는 것이다. 또한 천황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이 어디에서 왔으며, 필사적으로 저항하던 일본인들이 항복선언과 함께 양처럼 유순하게 변화된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국화와 칼, 그에 대한 설명이 어디에 나오는지는 읽어볼 독자들을 위해 물음표로 남겨본다.
뒷부분으로 가면 조금 늘어진다는 느낌도 없지 않으나, 대체로 흥미로웠다. 일본 문화의 이해를 위한 필독서 내지 권장도서임은 분명하다. 특히 같은 동아시아 국가인 중국, 한국과 다른 점을 설명하는 부분은 설득력이 높다. 그러나 역사와 전통에 대한 이해는 크지 않은 느낌도 있는데, 내가 생각하기에 3국 중에서 일본만이 과거제가 없었다는 점은 두 나라와의 문화적 차이를 가장 강하게 유발한 요인이 아닌가 싶다. 이러한 점은 또다른 연구와 책에서 확인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