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수업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외 지음, 류시화 옮김 / 이레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을 앞둔 환자들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삶을 살면서 진정으로 추구해야할 가치, 깨달았지만 실행하기엔 이미 늦어버린 그러한 것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죽음을 앞둔 사람들이 죽음의 시간이 다가오면서 느낀것은 사랑, 하고싶은 일, 자기자신의 정체성, 삶의 관조적자세, 진정한 놀이, 인내, 용서.... 이런한 가치들이다. 새로운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들이다. 왜 우리는 그런 것에 대해 실천하고 추구하는 것이 어려울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벌거벗은 몸으로 태어나 죽을때 한봇따리 싸가지고 죽을 것도 아닌데 우리의 삶은 너무나도 치열하고 몸부림치고 냉혹한 삶을 살고 있지 않나 생각해본다. 인간의 욕심이 부른 결과가 아닐까라는 생각... 너무나도 잘 알고 있지 않는가?

죽음을 목전에 두었기 때문에 그 사람들은 깨달았을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살았어야 하는 것을 인정해야만 죽음이 편안해지고 아름다울 것이다. 이것은 성자가 아닌 이상.. 그리고 평범한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우리는 알고 있다라고 말하겠지만 결코 깨닫지 못할 것 같다. 죽음을 목전에 둔 상황에 닥치지 않는다면 말이다. 

그러나 그렇게 높은 가치는 추구를 못하더래도 우리는 행복하게 살아야할 자격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그리고 죽는 순간 편안히 눈을 감고 한평생 살면서 후회는 없었다라고 자신있게 이야기 할 수 있어야만 할 것이다. 이책 말미에 이런 말이 나온다. 행복에 대해서...

'우리는 대부분 행복을 어떤 사건이 가져다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행복은 우리 주위에서 진행되는 일과는 별 관계가 없는 마음의 상태이다'

' 다행스러운 것은 우리가 행복해지기 위해 필요한 모든것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 새일을 시작하면, 나에게 꼭 맞는 짝을 찾게되면, 아이가 다 크고 나면.... 하지만 대개는 자신이 기다리던 일이 일어난 후에도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크게 실망합니다. 그래서 또 다른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냅니다. 승진을 하고나면, 첫아이를 갖고나면, 아이가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나면... 하지만 이런식으로 얻는 기쁨은 그다지 오래가지 않습니다. 미래보다는 지금의 행복을 선택해야 합니다. 우리가 행복할떄는 지금 이시간 입니다. 미래에 행복할 수 있는 것처럼 지금 이순간의 상황에서도 행복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