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책을 접하게 된 동기는 처음 스티븐 코비의 '절망이 아닌 선택'이란 책에서 '빅터프랭클' 박사의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의지가 마음을 좀먹는 우울증이나 패배감, 좌절감을 극복하는 좋은 기재라고 이야기한 것을 본 기억이 난다. 그때 읽었던 기억은 좀체로 공감할 수 없는 부분이 많았고 사실 어려서 읽었던 책이라 100% 이해를 하기는 좀 어려웠던 것 같았다.
그이후 알렉스 파타코스의 '의미있게 산다는것'을 읽고 또 한번 빅터프랭클이라는 사람에 대하여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이책에서는 구체적으로 '죽음의 수용소에서' 이책을 언급했고 이 책에서 얘기하는 심리치료기법인 '로고테라피'에 대해서 설명하고 삶의 의미가 거창한 어떤 원대한 포부와 이상을 갖고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삶에서 살아야하는 조그마한 의미만 있다면 삶을 살만한 것이다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이 책 죽음의 수용소는 서두 부분에 수용소에서 겪었던 자기자신의 이야기 그리고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인간적인 삶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참담한 생활속에서 자기자신에게 닥쳐온 고난과 고통은 참아낼수 있고 이겨낼 수 있다면 그 의미 자체만으로도 가치있고 삶을 살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이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사람의 분뇨로 얼룩지고, 등을 바닥에 붙이면서 잘수 없고 옆으로 드러누워야하는 빽빽하고 딱딱한 막사에서.. 그리고 아침5시면 꽁꽁얼고 구멍이난 신발을 질질끌고 영양실조에 걸려 자기자신의 살을 깍아먹으면서 노동 현장으로 칼바람과 강추위에 맞서서 나가는 심정이란.. 아마도 그러한 상황에 처해있다면 쉽게 목숨을 끊을 수 있는 방법을 택했으리라.. 그러나 빅터자신은 항상 삶을 포기하지 않고 수용소에서 나름대로 자신의 삶의 의미를 깨닫고 생사를 넘나드는 순간순간 의연하고 꿋꿋하게 현실을 받아들였다.
이책 후반부에는 로고테라피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약간은 정신의학서적적인 내용으로 되어있어 딱딱하긴 하지만 로고테라피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삶은 어떠한 어려움과 역경에서도 나름대로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 인생을 살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 -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의미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