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자후기에도 나와있듯이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는 책은 다치바나 다카시의 두 권의 책을 한국 독자에게 필요한 부분만 번역해서 합쳐 놓은 책입니다. 책 내용들이 여러 곳에서 쓴 글들을 모아 놓은 글이라서 전체적인 통일성은 별로 없고, 책이라는 일반적 주제에 대한 글들을 모아 놓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책 내용은 대체로 읽어볼만한 훌륭한 내용들이 꽤 있습니다.

이 책의 구성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지는데, 첫째는 '나의 지적 호기심'이라는 강연한 내용을 글로 옮겨적은 듯한 글과 둘째는 '나의 독서론'으로 다치바나 다카시의 독서론에 대한 글이 세 편이 들어 있습니다.

셋째 부분은 '나의 서재, 작업실론'에 대한 글 3편이 나와있는데, 이 글들 중 '나의 비서 공모기'는 비서 한 명을 뽑기 위해서 어떤 과정을 거쳐서 선택을 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어, 아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한 사람 비서를 뽑는데 이렇게 신경을 쓰고 치밀하다는 것에서 많은 도전을 받았습니다.

넷째 부분에서는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라는 인터뷰 형식의 글입니다. 중3 때 저자가 쓴 글도 있고 책을 읽고 싶어서 회사를 그만두겠다는 '퇴사의 변'의 글도 들어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노 갓파가 그린 저자의 서제를 그린 그림과 글이 있는데, 작은 도서관을 연상하게 합니다. 그림이 참 인상적으로 잘 그렸습니다.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는 식으로 그렸는데, 실제로 저자의 작업실 '고양이 빌딩'을 보고 온 느낌입니다.

마지막 부분은 자신의 서평을 쓰는 요령과 속독에 관한 내용, 출판사에 관한 생각 등이 나와있는데, 그가 어떻게 책을 많이 빨리 읽을 수 있는지를 잘 알 수 있는 대목들이 나옵니다.

책을 사는 데 돈을 아끼지 말라는 저자의 주장답게 그는 3만 5천권(지금은 더 많이 소장하고 있겠지만....)의 책을 소장하고, 그 책들을 읽은 사람입니다. 하루에 한 권씩 읽는다고 하면 거의 100년을 계속 읽어야 그가 읽은 책을 읽을 수 있겠지요.

저자의 독서론은 넌픽션 위주의 정보취득을 위한 속독입니다. 정독을 한다면 그의 책읽은 양을 죽어도 따라갈 수 없을 것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저자의 독서론은 어느 정도 먹혀들어갈 것이고, 필요한 것입니다.

한가지 저자와 동의하지 않는 점이 있다면, 저자의 모든 사상에 깔려있는 진화론적 생각입니다. 이 점을 제외하면 많은 부분 저자의 생각에 동의를 합니다. 책을 좋아하시는 분 혹은 출판에 관련된 일을 하시는 분이라면 꼭 이 책을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많은 통찰력을 주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