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는 반드시 이긴다

 

커다란 위기다.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했다. 40대의 젊은 패기로만 위기를 넘기에 역부족이었다. 폭발적으로 불어나는 교인들로 인해 교회는 인산인해를 이루어 새로운 교회 건축이 불가피했다. 착공도 되기 전 주변 시민들은 죽기를 각오하고 건축을 반대했다. 옥목사는 딜레마에 빠졌다. 건축이 교회의 본질인가. 무엇이 이 위기를 극복하게 하는가. 끊임없이 번민하고 고민했다. 기도하며 성경을 읽어가는 가운데 확신을 가지게 된다. 결국 사도행전을 통해 '교회가 답이다'라는 결론에 이른다.

 

 

교회는 이긴다. 반드시 이긴다. 수많은 제자들이 그리스도인이라는 이유로 핍박과 소외, 배척을 당했다. 당시의 사랑의 교회도 그랬다. 열정만으로 시대적 위기를 넘어갈 수 없다는 것을 옥목사는 깨달았고 다시 말씀으로 돌아갔다. 사도행전을 통해 교회가 세상의 소망이며, 세상을 변화시키는 유일한 대안임을 자각한다. 그리고 굳세게 일어나 교회의 교회됨을 선언한다.

 

지금도 들어오는 소리가 쩌렁쩌렁하다. ‘한 영혼 목회’에 미친 옥목사이다. 당시 2천여 명에 불과했던 교회가 지금은 3만 명을 넘기고 있다. 한 영혼에 투자하고, 한 영혼에 목숨을 걸었던 결과다. 교회 건축이 불가피하면 대사회적 대안도 만들어야 했고 그들의 거부도 감내해야 한다. 결국 옥목사는 교회 본당을 지상이 아닌 지하에 두기로 결정한다. 숨김으로 드러나기를 택한 것이다. 죽음으로 살기를 선택한 예수의 십자가와 닮아 있다. 첫 권을 읽고 시퍼렇게 날선 옥목사의 외침에 심장이 울렁인다.

 

 

마지막 페이지까지 읽어가려면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다시 들려오는 옥목사님의 한 영혼에 대한 열정이 시끄러운 현재의 사랑의 교회로 하여금 각성을 요구하는 듯하다. 교회는 이긴다. 반드시. 그러나 그 교회는 이기적 교회가 아닌 헌신과 사랑의 교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해 안에 읽어야할 정말 좋은 책 선정


읽지 않으면 정말 후회할 것 같은 책들이다. 


1. 히말라야 도서관

2. 창문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3. 약해지지마와 100세

















4. 죽거나, 멋지게 살거나

5. 28

6. 자본론


아직까지 자본론을 손에 들지 못했다. 지구의 절반을 피로 물들인 그의 본심이 무엇인지 읽어볼 참이다. 안 읽으면 후회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여름 2013-08-28 1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히말라야 도서관! 너무 좋았답니다^^ 읽으셨다는거에요? 읽으실 계획이라는거에요? ^^

낭만인생 2013-08-29 11:53   좋아요 0 | URL
읽을 계획입니다. 저도 그 책 앞 부분을 잠깐 읽었는데 정말 재미있더군요. 아이들에게 꿈을 심어줄 수 있는 유익한 책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근간 독서 목록 2003년 8월 27일


김서령의 [우리에겐 일요일이 필요해]

쪽득한 맛이 담백하게 스며있는 글이다. 


[꾸뻬씨의 사랑여행]

이건 뭐.. 그럭 저럭


임성미의 [진로독서]

이건 순전히 독서학교 때문에 구입해서 읽은 책. 오래 우려내면 얻을 게 많다. 실용적이란 뜻.


숨어사는 이유는 그저 편하게, 아무렇게가 끄적거리고 싶은 탓이다. 그런데 점점 그러기가 힘들어진다. 유명해진다는 것은 그만큼의 체면을 차린다는 뜻이다. 이미지 관린? 뭐 그런 거다. 아.. 힘들어. 어디 멀리 여행을 떠나고 싶다. 나도 힘들도 그대로 힘들고. 삶이란 무게 그 자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평설 9월호


처음 독서평설을 읽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이게 중학생 독서잡지야? 고등학교는 대학수준을 넘어섰다. 

그러나 싫지 않았다. 벌써 9월인가?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 아니던가. 고등학교 독서평설을 종종 본다. 딱 좋다. 아이들에게 독서지도를 해야하니 좋은 책이 나왔나 들여다 보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에 대한 몇 가지 고찰


언젠가 한 번은 친구가 물었다. 

"너 언제 죽을 것 같니?"

느닷없는 질문에 생각의 폭이 극도로 좁아졌다. 무슨 대답을 해야하지. 잠시 머뭇 거리는 동안 친구가 말한다.

"난 언제나 죽음을 준비하고 있어"

그게 무슨 말인지... 신앙심 깊다고 자랑하는 건 아니겠지. 가볍기로 소문난 녀석에게서 죽음을 듣다니 별일인가 보다. 


하여튼 친구의 이야기를 뒤로하고 그동안 미룬 몇 권의 책을 손에 들었다. 그러다 문득 

"나는 언제 죽지?"

죽음을 턱하니 대면하니 삶의 의미가 붙잡으려는 욕구가 강하게 일어났다. 그렇구나. 삶은 언제나 진지한 것을. 다만 의미를 잃은 게으름 때문에 가치를 상실한다는 것을. 독서를 생각하니 결국 종교와 고전으로 마무리 된다. 


삶에 대한 성찰, 죽음을 넘어서는 진리에 대한 집착. 뭐 그런 것들이 눈에 들어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