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연습 - 서동욱의 현대철학 에세이
서동욱 지음 / 반비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뭘까? 고뇌하는 영혼, 이마에 깊게 새겨진 주름, 두꺼운 안경이나 담배 뭐 이런 게 전형적인 이미지 아닐까? 대부분의 사람이 철학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부담스러움'이나 '어려움'이 먼저일 것이다. 나 역시 철학에 무지하기 때문에 아무리 군침도는 신간이 나왔다고 해도 쉽사리 도전하지 못한다. 뭔가 사전지식 없이 읽었다간 이해도 하지 못한채 머리만 싸매게 될 것 같은 느낌이랄까? 동시에 나 자신과 세계에 대해 틀 밖에서 생각하는 것은 네오가 그랬듯이 친절한 가르침이기 보단 지금까지 확고했던 한 세계의 붕괴이고 고통이 수반되는 과정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철학자의 이미지는 행복한 웃음을 짓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찡그린 얼굴과 고독한 그림자를 안고 있는 편일 것이다.   

그러나 그런 과정이 아무 의미도 없는 것은 아니다. 외려 지금까지의 세계를 깨부수는 것은 나 자신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과정에 다름 아니다. 바깥에 뭐가 있든 모험은 시작되어야 하고 그 모험이 끝날 때 비로소 한 인간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통 사람이 철학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분명하다. 일상에 매몰된 채 간신히 인간 형상만 갖추고 살 것인가,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만족하는 인간이 될 것인가. 자신의 존재와 타인과의 관계, 그리고 세계에 대한 고민이 없는 한 나는 일하는 기계에 불과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요즘 많이 나오는 철학 에세이 류는 한국말인데 이해를 못하겠다는 기존의 철학서를 탈피하여, 대중에게 좀 더 쉽게 다가간다고 할 수 있다. 짧게 한 꼭지씩 철학자별 이론이나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테마로  여러 이론들을 소개하는 류의 책을 기초 체력 다지기용으로 삼고, 더 관심가는 주제나 철학자를 대상으로 독서를 이어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서동욱 님의 신간 <철학 연습>은 여러 좋은 분들의 서재에서 추천 받은 책이고, 좋은 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기대에 부풀어 구입했는데 역시나 서문부터 느낌이 좋았다. 다만 네이버 캐스트에 연재했던 것을 묶어낸 거란 걸 모르고 산 점이 아쉽다. 왜 네이버 캐스트를 주의해서 보지 않았던가! 

책의 1부에서는 스피노자, 키르케고르, 니체, 프로이트로 현대적 사유를 위한 준비를 하고, 현상학과 그 너머, 구조주의와 그 너머를 살펴보며 현대 철학의 중요 흐름들을 훑는다. 2부에서는 오늘의 철학 연습으로 현대 사회에서 이슈가 되는 테마들을 꼭지로 어떻게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1부에선 스피노자의 긍정성과 질 들뢰즈로 이어지는 생의 긍정이 매우 인상 깊은 구절이었다. 이데아의 그림자에 불과했던 현재의 가치를 복원한 긍정성에 감탄.

   
  삶은 단지 살라고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지, 가책과 죄의식과 부정을 통해서 단죄하라고 있는 것이 아니며, 저편 어딘가에 있는 최종적인 완성된 단계를 목적 삼아, 훈육 받으며 머무르는 열등한 중간 기착지 같은 것도 아니다  
   

사르트르는 혁명 세대?라 그런지 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의식은 자유로운 선택이라는 행위를 통해 자신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하면서 '선택이라는 실천'을 통해 표현되는 의식, 개인의 의식이 공동체적 의식으로 확산됨을 말하였다. 

구조주의 부분은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과 함께 볼만하다. 푸코는 역시나 매혹적이고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은 여전히 잘 모르겠다. 흠흠 

2부 철학 연습에서는 시뮬라르크, 사랑, 노마디즘 등등이 재밌다. 특히 마지막 '책의 종언 뒤에는 어떤 읽기와 쓰기가 도래하는가'는 개인적으로 몹시 관심있는 이슈다.(있어야만 하고..) 

   
  그러나 결국 정보는 쓰기와 읽기의 혁명과 동떨어져서 항상성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 사실 이 항상성을 보호하고 보편화하기 위해 기기의 혁명이 있는 것이다...... 진짜 사유의 내용을 담은 정보는 동굴벽화의 시절부터 지금까지 요술이 아닌 지적 노동의 담당 영역이며, 오로지 테오리아와 프락시스, 즉 성찰과 연마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구가 바뀌어도 그 도구를 사용하는 목적은 바뀌지 않는다. 그렇기에 도구의 발전은 목적을 더 적합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치를 가지지, 모든 것을 바꿔놓을 만큼 위력이 강하진 못하다.   

책의 종말에 관한 많은 얘기들이 떠돌고(이미 오래되었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확산이 아무리 대세가 되어도 결국 내가 책의 가치를 믿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