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장을 연주하는 여자 - 첼리스트 도완녀의 행복한 가족, 풍요로운 밥상 이야기
도완녀 지음 / 해냄 / 2002년 10월
평점 :
품절


 따뜻한 온돌방에 방석을 깔고 마주 보고 앉았다. 맞은 편의 아주머니는 이야기를 하고 계신다. 다른 사람을 험담하는 것도 아니고, 세상의 부조리에 목청을 높이는 것도 아니고 정말 좋은 이야기들만 들려 주신다. 그런데 무릎 꿇고 앉은 발가락은 참을 수 없이 꼼지락거린다. 이 책을 읽는 심정이 꼭 그렇다. 나쁜 책은 아니지만 매력 있는 책은 아니다.

 사랑하는 남편이 있고 아이들이 있고 하는 일은 힘들지만 너무나 보람있다. 글쓴이는 이런 도덕 교과서 같은 삶을 실제로 살고 있는 사람이다. 제목을 보면 음식 이야기가 많이 나올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그냥 사는 이야기다. 그냥 사는 이야기가 근 삼백 페이지다. 그 것도 산 좋고 물 좋은 곳에서 된장 담그면서 사는 이야기. 중소도시에서 직장 생활을 하는 나로서는 '아유 그렇게 사시다니 참 좋으시겠어요, 부럽네요'하는 맞장구 말고는 더 이상 할 말을 찾을 수가 없을 만큼 접점이 없다.

 이 책이 독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뭔지 모르겠다. 이렇게 살아가라는 삶의 이상향을 제시하기 위해? 글쓴이의 생활방식을 따라갈 수 있는 사람은 현실적으로 그다지 많지 않다. 그렇다고 글쓴이가 특별히 새로운 삶의 자세를 제시하고 있다고 보기도 힘들다. 된장이 몸에 좋다는 걸 알리기 위해? 이 책을 읽고 나서야 '아, 된장이 좋은 거구나'하고 깨닫는 사람 거의 없다. 된장이나 콩이 몸에 좋은 이유에 대해 과학적인 설명을 중간 중간 삽입하긴 했지만 신문의 건강상식 코너에서 보는 것 이상은 아니다. 다른 꼭지들과 전혀 연관관계 없이 그저 날 것 그대로 뚝 떼어놓은 것 같은 인상을 받는다. 그렇다고 된장을 어떻게 잘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독특한 해법을 제시하는 것도 아니다. 끝까지 읽었지만 '다음에 기회가 되면 메주와 첼리스트에서 된장을 사먹어봐야겠군' 말고는 딱히 남는 게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면 미인이 된다
이주영 지음 / 문예당 / 2000년 12월
평점 :
품절


 성공한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일에 대해 자신감이 있고 철학이 있다, 아니 있어야만 한다. 그런데 가끔 그런 자신감과 자기 철학은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충돌하거나 어긋나기도 한다. 그런 차이점을 인정하고 다른 사람의 장점을 수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도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아무래도 후자에 속할 듯하다.

 레이저 치료를 하는 피부과 의사들을 모두 돈벌이에 혈안이 된 의사들로 매도하는가 하면 시중에 유통되는 화장품은 모두 거기서 거기라는 주장이나 선크림을 바르는 것이 오히려 피부에 좋지 못하다는 주장처럼 상식과는 조금 거리가 먼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 그런 주장을 독자가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풀어쓴 것도 아니고 '화장품 원료는 결국 비슷비슷한 성분을 수입해서 쓰기 때문에 국산이건 외제건 차이가 없다'거나 '선크림을 바르면 기름에 익힌 것과 같다'는 식으로 밀어붙이면 선뜻 수긍하기 어렵다.

 저자의 교육관이나 인생관도 그렇다. 요즘의 교육은 1,2등을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 학생들이 경쟁심이 생기지 않아서 노력을 제대로 기울이지 않는다거나, 학생간첩단 사건으로 어수선한 시기에 한국으로 유학을 간 아들들에게 '엄마는 빨갱이가 세상에서 제일 싫어'라고 했다는 대목을 읽으면 - 아마 서승 서준식 형제가 저자가 말한 빨갱이일 테다 - 어지러울 지경이다. (물론 자식이 고생하기를 바라는 부모님 없고 그 시대 상황이 어려웠다는 것을 모르는바 아니다. 다만, 세월이 지나 자신이 한 말의 의미에 대해 조금의 반성이나 되새김 없이 옮겨 놓은 그 무감각에 놀랄 뿐이다.)

 정말 열심히 부지런히 인생을 살아왔고 지금도 그렇게 살아오고 있는 분이다. 교사에서 화장품 외판원, 그리고 화장품 회사를 운영하기까지는 분명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길이 아니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도 아니다. 그렇지만, 여유가 없다. 내 일, 내 가족, 내 생각 외에는 아무 것도 들어설 틈이 없다. 성공하는 건 좋은 일이다. 그렇지만 나는 이런 모습의 책을 쓰는 성공한 사람이 되고 싶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촘스키 세상의 권력을 말하다 1
노암 촘스키 지음, 강주헌 옮김 / 시대의창 / 2004년 4월
평점 :
품절


 '촘스키 세상의 권력에 대해 말하다'를 읽고 촘스키를 좀 더 접해보려고 골라든 책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촘스키 세상의 권력에 대해 말하다'와 큰 차별성이 없는 책이다. 미국, 자본주의, 지식인, 거대 기업, 제 3세계 국가들에 대한 압력, 모든 것에 대해 촘스키는 여전히 혜안을 가지고 있지만 그 혜안을 살짝 훔쳐보는 것은 '촘스키 세상의 권력에 대해 말하다' 한권으로도 충분하다. 넓은 행간을 줄이고 한권으로 묶어서 나와도 될 책을 두 권으로 살짝 부풀려 놓은 듯한 인상을 받는다. 더구나 '촘스키 세상의 권력에 대해 말하다'와 세권이 묶음으로 이벤트 중인 것도 그다지 반갑지 않다.

 두번째 책을 사느니, 번역이 개떡같아서 내팽개쳤던 숙명의 트라이앵글에 다시 도전하는 편이 낫겠다. 물론 이 책 자체가 나쁘다는 게 아니다. 다만 비슷한 밀도를 가진 대담 형식의 책이 이렇게 많이 나올 필요는 없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스닝 초보자의 도전! 래리 킹 라이브
CNN 출판부 엮음 / 다락원 / 2000년 8월
평점 :
절판


 뉴스듣기를 통해 영어공부하는 것이 적성에 안맞는 사람이 선택해볼 만 하다. 천변일률적인 완벽한 발음의 백인 남녀의 끝도 없이 재미없는 뉴스를 듣다보면 지겨워서 견딜 수 없는 사람. 목소리도 그렇고 발음, 억양 모두 다양하게 들어 있다. 책에서도 너무 많은 설명을 하려고 하는 편이 아니라 지겹지 않게 읽을 수 있다.

 보통 초보자를 위한 책은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초보자' 딱지를 떼면 물려주거나 처분하게 되는 책과 두고 두고 생각날 때마다 볼 수 있고 볼 때마다 새롭게 읽을 만한 부분이 있는 책. 이 책은 초보자 때는 조금은 도전정신을 가지고 임해야하고 그 시기가 지나면 문득 문득 맘 편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다. 드라마와 뉴스의 중간 쯤이라고 보면 될 거 같다. 재미는 드라마보단 덜하고 뉴스보다는 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World Best Columns
양형철.정득권 지음 / 넥서스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The world best columns 라고 해서 영어 그 자체 뿐 아니라 영미권 시사를 읽는 힘을 기를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 너무 큰 기대를 하는 거다. 여러 신문들의 칼럼을 골고루 실었지만 칼럼을 따로 떼어놓고 보면 이 칼럼이 타임즈에서 나온 칼럼인지 가디언에서 나온 칼럼인지 구분할 수 없을 만큼 무난한 칼럼들 뿐이다. 칼럼을 읽은 것은 단지 잘 쓴 영문을 읽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어야 하는 게 아닐까.

 단어 한번 풀어주고 드문드문 잘라서 거칠게 해석 해주고 통틀어서 세세하게 해석 한번 해주고 단계적으로 친절하게 해설해준다. 책 크기나 두께에 비해 칼럼 수가 생각보다 많지 않아서 몇번 연속해서 읽다보면 좀 과잉 친절 같이 느껴져서 차라리 칼럼 몇편 더 실어주지 하고 바라게 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