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나는 ‘슬로리딩’에 적극 동참하고자 하는 독자다. 이 서평은 순수하게 《책을 읽는 방법》에 대한 서평을 넘어 내 개인적인 책 읽기 방식과 읽을 책을 선정하는 과정 그리고 텍스트라는 사고의 유산에 대한 내 반성이 담긴 글이 될 것이다. 더불어 히라노 게이치로가 주장하는 슬로리딩은 무엇이며, 효율적으로 읽을 책을 선정하는 방식은 무엇인지 그리고 한 권의 책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내 생각을 쓸 것이다.
기존의 텍스트에 대한 주장들이 텍스트의 내용 이해에 치중했다면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리딩은 텍스트의 내용 이해뿐 만아니라 내용 이해를 돕는 ‘읽기 방식’을 도모했다는 차이와 장점이 있다. 저자 히라노 게이치로에 따르면 ‘슬로리딩’은 “한 권의 책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시간을 들여 천천히 읽는 것”이다. 텍스트를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 삶의 다양한 굴곡에 텍스트에서 비롯되는 상황들을 적용해보는 예행연습과 같은 단계까지 고려함과 동시에 자칫 한 권의 책에 빠져 잃기 쉬운 현실성과 주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비판적 읽기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슬로리딩이라고 히라노 게이치로는 주장한다. 이런 텍스트를 장악하고자하는 독자들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책 읽기의 방식은 보통 다양한 주제의 많은 책을 빠르게 읽고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식인 ‘다독’에서 비롯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히라노 게이치로는 다독과 속독에는 분명히 한계가 있으며 한 권을 공들여 읽는 것이 다독보다 텍스트에 대한 장악력을 키울 수 있는 길이라고 말하고 있다. 느긋하고 여유롭게 한 권을 공들여 읽고 읽기가 지겨워지면 바로 책을 내려놓는 읽기 방식인 것이다.
느긋하고 여유롭게 깊숙이 들여다볼 한 권의 책을 어떻게 선정해야 할까. 읽을 책을 선정하는 과정은 지인(교수와 선생을 포함)의 추천, 출판사의 홍보를 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런 책들은 대개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호기심, 흥미와는 무관한 것들일 때가 많다. 이를테면 내 경우에 서점에서 세계화에 관심을 갖고 책을 찾아보다가 더 눈에 띄는 다른 주제의 책을 읽고 있는 경우가 많다. 결국 세계화에 대한 내 호기심과 흥미는 내 안에 응어리진 채로 남아 조급한 책 읽기를 부추긴다. 물심양면을 낭비하지 않고 책을 선정하는 방식은 이렇다. 자신의 호기심과 흥미가 동하는 책을 구입하고 그 책에 등장하는 그 책에 영향을 준 책 혹은 책의 저자가 흥미롭게 읽고 소개하거나 추천한 책, 그 책의 주제와 맞물려 있는 다른 주제의 책들을 스스로 찾아서 읽는 것이다. 책은 하루에도 몇 십 권씩 쏟아져 나오지만 자신의 호기심과 흥미에 주의를 기울여 책을 선택하고 읽어나간다면 그 한 권의 책을 깊숙이 들여다볼 수 있는 여유가 생길 것이다.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리딩은 비단 책 읽기뿐 아니라 인간관계나 여행 같은 상황에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얼마나 많은 사람과 피상적이고 유연한 관계를 맺느냐가 한 사람 대인관계의 척도가 되고 있고, 얼마나 오래, 먼 곳을 다녀왔느냐가 여행의 질적, 양적 충만함의 척도가 되는 시대에 한 사람을 알아가고 그 사람과 깊이 사귀는 것, 한 곳에서 그 곳만의 정취를 느끼는 것은 훌륭한 정신적, 물질적 유익함으로 남을 것이다.
한 사람을 깊이 사귀고 그 사람에 대해 정확히 알아가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한 권의 책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읽을 책을 선정하는 과정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책을 읽고 나누는 담론의 상황에서 책 이외의 자기 삶을 토로하거나 자위하는 것이 아닌 책에 담긴 텍스트의 이해를 나누는 것에 집중할 수 있고, 생산적인 결론을 도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한 권의 책에 대한 담론의 상황에서 책 내용 이상의 것을 알기 위해 저자의 현재 상황, 대립되는 주장이나 견해가 담긴 책 혹은 그 책의 주제를 둘러싼 일련의 과정에 집중하게 되는데 그런 담론의 범주를 벗어나는 습관이 오히려 한 권의 책에 대한 생산적인 담론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책 이외의 것은 책에 담긴 텍스트를 정확히 요약하고 상황을 만들어 토론한 이후에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앙꼬 없는 찐빵처럼 텍스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담론은 불필요한 시간낭비가 될 뿐이다.
슬로리딩을 주장하는 책을 읽으면서 속독하고 있는 나는 비극의 주인공이다. 어느새 나도 모르게 양과 피상적인 이해에 만족하게 되었다. 정확한 이해와 응용, 다른 사람에게로의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차분히 읽고 꾸준히 읽어야 한다. 읽어서 남 주고 읽은 이에게 배워야 한다. 느리게 사는 것은 손해 보며 사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사는 것이다.
* 함께 읽으면 좋은 책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피에르 바야르(지음), 김병욱(옮김), 뿌리와이파리, 2008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9348978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다치바나 다카시(지음), 이언숙(옮김), 청어람미디어, 2001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972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