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의 현학

나 자신이 사랑에 대해 별다른 생각이 없다고 알게된 것은 남을 통해서였다. 그래서 내가 사랑에 대해 이러저러하게 언급하는 것들은 대부분 빈약하다. 내게 ‘사랑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대답할 수 있을까. 알랭 드 보통처럼 현학적으로―그러나 매우 풍부한 감성과 경험을 바탕으로―혹은 즉흥적으로 ‘사랑은 이것이지’라고 대답할까. 내가 대답하기 껄끄러운 사랑에 대해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란 주제로 한 권의 책을 낸 작가가 있으니 읽어볼 수 밖에. 읽으며 부분마다 멍하니 추억에 잠길 수 밖에.


사랑에 대한 물음



“책을 읽으면서 사랑에 대해 많이 생각하고 궁금하게 됐지만 가장 궁금했던 것 중 하나가 여자의 입장에서 본 클로이의 입장과 생각이 궁금했어. 어때?”

“여자­남자의 생각으로 나누는 것보다는 주인공 ‘나’의 이야기에 공감했고 사랑에 대한 여자­남자의 생각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여자들이 생각하는 ‘클로이’의 입장과 생각이 궁금해 질문했는데 그 여자아이가 일정정도의 확신을 갖고 한 말이다. “과연…”이라 생각하며 난 고개를 갸우뚱 했고 진지한 분위기와 활기찬 분위기가 번갈았다.



잊기와 술잔


모두 동의 하듯이 ‘사랑’에 대한 저마다의 이야기는 그 이야기를 들어주는―듣자마자 잊어버릴 수 있는―사람과 술잔이 앞에 있어야 하는 것이 기본이다. 제정신으로 자신의 온갖 감성과 행동이 담긴 ‘사랑’을 이야기 할 수 있다면 그건 이미 사랑이야기가 추억이야기가 된 것이기 때문이다. 사랑과 추억이 어떻게 다르냐. 사랑은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하기보다 현재를 중심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그 땐 사랑이었지’ 그래서 사랑은 제정신으로 다른 이에게 털어놓기 껄끄럽다.


모두 사랑을 했고 하고 있으며 하려고 한다. 서로의 ‘사랑’에 대해 들으며 어느 정도의 감정 동요와 공감으로 입에서 쓴 소리가 나왔다. 술잔을 앞에 두고 진지한 표정으로 다른 이의 ‘사랑’에 대해 듣고 있는 것만큼 그에 대해 알기 쉬운 길도 없는 것 같다. 그 사랑에 온갖 감정과 행동이 응축되어 있으니 말이다.



사랑이 떠나고 나면


물음과 의심이 남는다. “사랑했던 사람은 날 사랑했을까” “난 사랑을 한 걸까” “내가 다른 사랑을 찾을 수 있을까” “얼마의 시간 동안 아파해야 할까” “……”


사랑은 온갖 피해의식과 감정적 동요, 추억을 남기고 떠난다. 저자가 말하는 ‘낭만적 테러리스트’의 역설적인 행동처럼 또 사랑에 빠지겠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헬리아 2008-01-17 2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연 언제가 되야 '사랑'일수도 있는 것을 알게될까요....

legows 2008-02-01 1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 수는 있는 걸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