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부터 특이했다.
프로 야구 원년 그 말도 안되는..
기도 안 차게 엄청난 점수차로 꼴찌자리를 고수하던
삼미 슈퍼스타즈를 기억하기에
대체 그들을 소재로 그것도 장편의 이야기로 꾸려갈 뭔가가
과연 있겠냐는 섣부른 판단은 책장을 넘기면서 사라졌다.

박민규라는 작가의 입담은
구세대인 내 보기엔 '신세대' 화법이라고 구분지을 수 있을 만큼
기존 작가 (적어도 내가 아는 이들)의 화법과는 다르다.
문어체가 아닌 구어체에 가까운
궁시렁 대는 듯한 그의 이야기 방식이 자연스러웠던 것은
아마도 이 소설에 자전적인 요소가 많은 탓이 아닐까..
그것에 대한 판단은 그의 다른 소설을 읽어보고 나서 해야할게다.

일단 한낮 개인사에 묻혀질 법한 소소한 이야기를
가볍고 재치있게 풀어가는 그의 이야기 스타일엔
높은 점수를 줄만하다.
여기서 '가벼움'이란 표현하는 방식을 이름이다.
만일 알맹이 없는 가벼움이라면
이 책은 우리집에서 볼일(?)보는 동안에만 읽혀지는
화장실용으로 그쳤터이나
대환과 나는 줄곧 볼일이 끝난 후에도
그 책을 접기 싫어 밖으로 갖고 나와 읽으며
킁킁 대고 웃었다.

주인공이 이야기 하는 세상은
'프로'와 '아마추어'로 나뉘어져 있다.
주인공은 한때 일류대와 명함이 부끄럽지 않은 회사를 거침으로써
'프로'들의 세상에 적을 둔 적이 있긴 하지만
결국 그는 '진짜 인생은 삼천포'에 있다는
상당히 철학의 깊이가 느껴지는 결론으로
그냥 '아마추어'세상에서 머물며 느긋한 삶을 택한다.
아니 생각해보니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그렇듯이 살다보니 그렇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이 책에서 ‘삼미’가 갖고 있는 메타포는
단순한 꼴찌 야구팀으로써가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늘 일등만 기억한다는 이 치열한 경쟁사회에 대한
'반기'자 '역행'이다.
자본주의 프랜차이즈의 첨병인 프로야구 바닥에서
전혀 프로답지 않은 경기를 벌인
'삼미'를 그토록 추억하는 이유가
일견 '프로'의 세상에서 수용되지 못한
변두리 삶들의 ‘넋두리’라고 할 수 있음에도
이 책에 일관되는
그 삼미 야구팀의 플레이 방식과 철학(?)에 대한
작가의 해석이 궤변스럽다기 보다는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기에 충분할 만큼
나름대로의 이유와 논리가 있다.

받아치기에 엄두 안나는 공은
절대 무리해서 치지 않고
잡지 못할 공은 굳이 무리해서 잡지 않는다는
삼미의 플레이방식은
'프로'의 세상에선 용납되지 않았던 것 처럼..
여느 프로야구 팀들처럼'프로'의 세상에서
피터지는 경쟁에서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이 팀은 경기와 훈련을 통해
'정신을 수양'한다는 뜸금없는 철학을 갖고 있었던 것처럼..
주인공과 또 한명의 열성당원인 그의 친구 조성훈은
자신들의 삶이 그런 '삼미'를 닮았다고 생각하고
또 그렇게 살기를 추구한다.

새삼 우리의 기억에 잊혀졌던
꼴찌 '삼미'에 주목하는 이유는 과연뭘까.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
삼미의 투수였던 '감사용'을 캐릭터로 했던 영화가 있더니
이런 소설도 있다.
어느 것이 먼저였는지 정확하지도 않고 중요하지도 않다.

오직 일등과 일류만 쳐주는
우리 사회에서
꼴찌들에게는 결코 있을 법 하지 않은
그 꼴찌의 철학에 관심을 기울이는 건
그냥 우리 대중문화의 일시적인 트랜드라 해도
반가운 건
획일적인 면에 있어서 둘째가라면 서러워 할
우리 사회의 융통성이
조금씩 나아진다는 징조가 아닐까 하는 넘겨짚음 탓이다.

언제부턴가 우린 이전엔 대접받던 '범생'이란 말에
경기를 일으키며
이젠 착한 것만으로는 용서가 안 되는 세상이란 암시들을
여기 저기에서 보여주고 있다.

예전에는
칭찬받던 그 평범하고 모범적인 전형들이 거부당하고 있는게다.
일례로 대중문화에 한민감한 우리의 청춘들은
스스로 '엽기적’이기를 자청하면서
허구와 현실을 헷갈려 하기도 한다.
물론 그런 한때의 트랜드 따위로
일류를 지향하는 우리 사회 인식이 바뀔 거라고
기대 할 만큼 순진한 이는 없을게다.
사람들은 다만 그런 '낯선’ 트랜드에
호기심어린 눈빛을 보내고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스스로 '프로'의 세계에 들어가려고
고시를 보고 일류대학 합격 등의 공인된 장치를 통해
그 ‘프로’의 세계에 어떡해서 든지 비집고 들어가려고
피끓는 청춘을 고스란히 도서관에서 썪히길
마다하지 않긴 지금도 마찬가지일터이니.

그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이제껏 굳어진 시각과는 다른
낯설고 소소해 보이는 코드 하나로
세상을 빗대어 풍자하는 작가의 입담과
시종일관 그 코드를 놓치지 않는 그 일종의 내공에
있을지도 모를 그의 다른 소설들을 기대하게 된다.

이 '꼴찌'의 철학에 충분히 공감하게 되는 건
나 역시 '프로'의 세계가
늘 남의 세계라고 여겨왔던 변두리 체질이기 때문일게다.
물론 프로야구 원년 삼미가 꼴등의 자릴 지킬 때
난 우승팀이었던 오비베어즈의 박철순을 향해
열광의 박수를 보냈음에도
내가 주인공인 내 삶을
그런 무엇과 동일시한다는 게
허구에서나 가능한 설정이라는 걸 알아버린 아줌마한테
굳이 적용해보자면...
기실 초등학교때부터 줄곧 한번도 일등이 되기 위해,
어떤 조직의 중심에 서기 위해,
그리고 누군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이를 악물었던 적이 과연 나한테 있었던가..
이책을 읽으며 되물은 적이 있다.
대답은 별로 없었다는 거다.

동시에 누군가가 했던 말도 생각났다.
공부를 계속하고 싶다는 내 희망사항에 대해
그건 내 전공바닥에서 더이상 아마가 아닌
프로가 된다는 걸 의미한다는
그 당연할지도 모를 말이
왜 나한테는 무지하게 부담스러웠던 걸까.
아마도 내가 가지고 있는 '프로의식’의 함량이
기준에 훨씬 못 미치기 때문일게다.
거기에 대한 내 반응은 '프로'는 무슨..
그냥 '좋아서' 하는거지..라는 아주 맥빠진 몇마디로
진지한 상대방을 실망시켰었다.

물론 나같은 함량미달들이 겪는 문제는
말한 대로 좋아서 하는 짓이
항상 '좋지만은 않다'는 거다.
하기 싫고 집어 던지고 싶을 때가 허다하다.
그때마다 난 그 잦은 빈도의 이유가
남들의 그 '프로 근성'이 나한테는 아주 부족해서 일거라는
자기 진단을 주저없이 내린다.

사실 그런 함량미달 근성이
무엇에나 쫓기기 보다 조금이라도 느긋해지고 싶은
내 특유의 똥배짱을 만들어 내는 지도 모른다.

있는 껏
느긋하고 싶다.
쫓기면서 계획된 대로 차곡 차곡
뭔가에 맞추어 숨을 헐떡이며 뭔가를 하고 싶지 않다.
그랬다면
난 훨씬 일찍 내 삶의 방향을 결정했을 지도 모른다.

남편은 그랬다. 
공부 끝난 이후의 삶도 삶이겠지만
물론 그 삶엔 우리의 기대치가 높아진 삶이겠지만
지금의 삶도 즐기자고.
지금도 살고 있는거니까.

그러고싶다.
나 역시.

덧붙임: 이책은 여기서 같이 유배생활을 하고 있는 남편의 후배한테서 빌려 읽었다. 읽은 지 꽤 되는데 이제라도 몇자 끄적이는건 순전히 내 삶의 되새김질을 위해서다. 여기서의 우리 삶이 그렇듯이.  

또 덧붙임: 2005년에 끄적거린 글이다. 사년이 흐른 지금...공부를 끝낸 남편은 미국 남부 시골의 한 주립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공부가 남은 난 아직도 학생노릇을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