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바람의 그림자 1 잊힌 책들의 묘지 4부작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 지음, 정동섭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문학을 통해 다른 나라의 문화를 들여다 본다는 것은 때로 경이로움을 선물하지만 그 차이가 난해함으로 다가오기도 하는 것 같다. 그러나 만국의 공통감정어인 사랑을 주제로 한 스페인 작가 카를로스의 책은 '바람의 그림자'는 중남미문학에 대한 거부감을 말끔히 털고 스페인 문학의 매력에 흠뻑 빠지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바람의 그림자'는 바르셀로나의 소년 다니엘이 서점을 운영하는 아버지와 함께 '잊혀진 책들의 묘지'라는 비밀스러운 공간을 방문하는 회색빛 안개가 짙게 깔린 새벽으로부터 시작된다. 표지의 사진을 통해 상상력을 제한하지 말고 자유롭게 상상의 날개를 펼치고 그려보는 바르셀로나의 새벽은 비밀스럽고 은밀한 향기를 느껴본다.

다니엘은 잊혀진 책들의 묘지를 방문한 사람은 반드시 책 한 권을 골라야하는 관습에 따라 그 책이 결코 사라지지 않고 영원히 살아남을 것이라는 영원한 생명의 약속을 위한 책을 한 권 선택하게 되는데, 다니엘은 운명적으로 '바람의 그림자'라는 홀리안 카락스이 책을 고르게 된다.

 다니엘은 이 책의 마력에 빠져 단숨에 책을 읽어 낸 후 마치 홀린 듯이 홀리안 카락스라는 저자의 또다른 이야기를 찾아 나서고 홀리안 카락스의 불운한 사랑의 어두운 그림자에 몸을 담게 된다.

 홀리안의 또 다른 책들을 향한 다니엘의 집념 안에서 다니엘은 앞을 보지 못하는 클라라를 만나게 되고 소년적인 첫사랑에 빠진다. 이를 지켜보며 스페인 내전을 통해 이념과 정치적으로 희생자가 되버린 이제는 다니엘의 친구이며 서점의 직원이며 홀리안을 향한 그의 짧은 여행에 동반자가 되어주는 페르민은 이렇게 조언한다.

..진정으로 한 여자를 사랑하고 싶다면 그 여자처럼 행동해야 한다고, 그리고 그녀의 영혼을 얻는 것이 우선이며 나머지 것들, 즉, 사람으로 하여금 감각과 미덕을 잃게하는 달콤하고 부드러운 포장은 보너스로 오는 것이다..고

 진정 나의 사랑은 영혼을 공유하는 것이었나, 보너스로 오는 것들에만 연연하여 진정으로 소중한 사랑의 의미는 소홀히 하고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를 일이다.

 다니엘을 통해 베일을 벗으며 실체를 드러내는 홀리안은 단 한번의 사랑에 일생을 바치고 그의 연인 페넬로페 오빠와의 어긋나는 우정, 친구의 연인에 대한 사랑으로 결국 친구를 죽이고자할만큼 증오하게 되는 강한 배신, 숨기기 위해 덮을 수록 더욱 숨막히게 진실을 뱉으며 다가오는 헤어날 수 없는 운명 따위의 감정들이 그의 슬픈 사랑의 무덤에 수북히 덮여있다.

 홀리안의 모든 진실을 알아가면 갈수록 그의 삶과 혼동될만큼 닮아가는 것을 알게되는 다니엘의 사랑은 점점 가슴을 졸이게 만든다. 다니엘 또한 홀리안의 삶 속에 드리워진 어두운 운명의 그림자에 몸을 담그고 슬품 비극으로 사랑을 끝내버릴 것인가, 홀리안의 소설 속으로 도망쳐서 피신하는 외로운 사랑으로 마감될 것인가..

 사랑이라는 주제는 자칫 진부하고 식사할 수 있지만 탄탄한 전개를 통해 당위성의 옷을 입은 그들의 운명적 사랑은 안타까움에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잠시 지금 내 곁에서 남편이라는 일상으로 묶여있는 사랑에 대해 운명이라는 이름을 붙여 새롭게 추억할 수 있는 시간을 선물한다.

 마치 추리소설처럼 스릴이 넘치고 흥미로운 반전이 책이 재미를 더해주고 있으며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마술같이 놀랍고 삶의 곳곳에 대한 깊은 그 만의 성찰을 느낄 수 있는 카를로스의 작가적 능력과 표현력에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삶 속에서 머리와 가슴 속에 담긴 감동과 이야기들을 어떤 매채로도 구체화할 수 없는 답답할 때  뛰어난 문장으로 딱 이거다! 싶은 표현을 접할 수 있는 것 또한 글만이 가진 힘일 것이다.

 ...독서라는 예술은 점점 죽어가고 있다고, 그것은 내밀한 의식이라고, 책은 거울이라고, 우리들의 책 속에서 이미 우리 안에 지니고 있는 것만을 발견할 뿐이라고, 우리는 정신과 영혼을 걸고 독서를 한다고, 위대한 독서가들은 날마다 희귀해져가고 있다고...

 쓴 사람의 영혼과 그것을 읽으며 꿈꾸었던 이들의 영혼을 들여다볼 수 있는 독서의 의미를 돌아보게 하는 이 문장이 개인적으로 가장 가슴에 깊게 남는다.

 가벼운 책들이 넘쳐난다고 불만들을 하지만 쉽게 책장을 넘길 수 있는 책만을 선호하는 게으른 독서가의 한 사람으로 나 자신을 반성하며 스페인 문학에 대해서 이탈리아 영화만큼이나 거부감을 가지고 있던 선입견을 털어버릴 수 있었다는 점에서 또한 인터넷으로 스페인내전 및 바르셀로나에 대해서 단편적으로나마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됐다는 점 또한 반가운 일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