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팬티는 어디에서 왔을까
조 베넷 지음, 김수안 옮김 / 알마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오늘날 우리에게 ‘Made in China’ 혹은 중국제라는 말은 싸구려, 저가품, 품질이 떨어지는, 쉽게 망가지는, 유해한, 믿을 수 없는, 짝퉁, 쓸모없는 등등의 온갖 부정적 형용사를 함축하고 있는 단어이다. 그러나 당장 지금 내가 앉아 있는 책상 위를 살펴보자. 거의 24시간 나와 함께하는 아이폰4, 매일 아침 커피를 마시기 위해 물을 끓이는 필립스 무선주전자, 책상에 앉아 있는 내내 즐겁게 음악을 들려주는 JBL 소형 스피커, 그리고 이 글을 치고 있는 로지텍 키보드와 마우스. 이 모든 상품에 ‘Made in China’라는 딱지가 붙어 있다. 들쳐보기 귀찮아서 찾아보진 않았지만 지금 내가 쳐다보고 있는 HP 모니터 어딘가에도 분명 똑같은 딱지가 붙어 있을 것이다. 그러니까 이건 일종의 역설 혹은 블랙코미디라고 할 수 있다. 그토록 하찮게 생각하면서도 동시에 그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올가미에 걸린 삶. 이 책의 저자 조 베넷은 이 코미디 같은 상황을 이해해보고 싶어 한다

궁금증은 대형할인매장에서 구입한 팬티에서 시작된다. 팬티가 담긴 쇼핑백을 조수석에 싣고 집으로 가다가 문득 놀랍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국에서 제조된 팬티가 수많은 중간상인들을 거쳐 머나먼 뉴질랜드까지 와서 단돈 5.99뉴질랜드달러에 팔리는데도 이익이 남다니! 게다가 팬티 다섯 장들이 묶음이 겨우 8.59뉴질랜드달러에 팔리는 것을 생각하면 더더욱 이해가 되지 않았다.” 쌔고 쌘 ‘Made in China’를 보면서 누구나 한번쯤 가져봤을 만한 생각, 그러나 아무도 그 궁금증을 해결해보려 시도하지 않았던 생각을 저자는 직접 실행에 옮긴다. 팬티가 만들어져 소비자의 품에 도달하는 과정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다. 그렇게 팬티 찾아 삼만리라는 황당한 여행기가 시작된다.  

물론 이 책의 기획 의도는 판매처에서 무역업자를 거쳐 팬티 제조공장과 원자재 수급처까지, 다시 말해 중국산 팬티가 생산되어 소비되는 전 과정을 하나하나 역추적하는 데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핑계거리일 뿐이다. 이 책은 팬티의 생산과 소비 과정에 대한 단순한 르포르타주가 아니다. 우리가 베넷의 글을 통해 만나게 되는 건 전 세계 5분의 1이라는 거대한 인구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저가 노동력을 공급하며 세계의 제조공장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현실과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이다. 화려한 네온과 고층빌딩으로 무장된 도시와 그로부터 단 몇 분만 벗어나면 텃밭과 거름과 소떼가 어슬렁거리는 시골의 풍경, 끊임없이 도시와 산업단지로 빠져나가는 젊은 인력들과 농촌을 지키는 노인들 등, 마치 우리의 70년대가 그러했듯이 한참 성장 중인 나라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산업화의 이면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그러나 또한 그렇다고 해서 중국의 경제 현실에 대한 단순한 보고에 머무르지도 않는다.

언어가 통하지 않는다고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간이라는 유인원에 대한 온갖 사소한 사실을 의식하게 된다. 나는 나도 모르게 사람의 얼굴과 몸짓과 자세를 자세히 관찰하게 되었다. 덕분에 언어 문명의 찰나적인 영향에 흔들리지 않는 인간의 공통점을 볼 수 있었다. 나는 그게 좋았다. 인간은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많다는 사실을 분명히 깨달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가지고 끊임없이 자신과는 다른 삶의 방식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서양인들이 쉽게 가질 수 있는 편견 혹은 선입견에 갇히지 않기 위해 유교, 불교, 도교와 같은 중국의 사상과 각 지역의 역사를 공부하고, 낯선 여행자가 겪을 수 있는 신기하고 때론 불쾌할 수도 있는 에피소드들을 유쾌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에서 여행 작가로서의 저자의 매력이 물씬 풍기기도 한다. 게다가 이 모든 것을 유머러스하게 버무려 풀어내는 저자의 뛰어난 감각은 감탄스럽기까지 하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이 책이 가진 매력은 한 서양 여행자의 중국 여행기이면서 이런 종류의 책이 으레 빠지기 쉬운 경멸 혹은 예찬과 같은 극단적인 평가로 일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컨대 중국 정부의 위압적이고 통제적인 정책이나 위구르 인들에 대한 중국인들의 인종차별과 같은 부당한 행위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중국인의 맥락에서 그들이 이해하며 서양이 가지고 있는 중국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과거 서양이 중국에 가한 역사적 잘못 등을 기억하려고 노력한다. 다시 말해 중국이라는 거대하고 신기한 나라 속에 너무 깊이 빠져들지도 너무 멀리 떨어지지도 않고 적절한 거리감을 유지하면서, 그곳도 결국 우리와 똑같은 사람들이 사는 곳이란 걸 일깨워주는 것이다. 이 황당무계하고 유쾌한 여행기는 경제 성장이라는 신화 속에서 잊혀져가는 인간의 모습을 끊임없이 상기시킨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더. 출판사의 요구로 우루무치의 목화 농장에서 찍은 사진을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었다. 책을 읽고 나서 이 사진을 보게 된다면, 저자의 다음과 같은 설명에 고개가 자연스레 끄덕여질 것이다.




보통 사람들이 그렇듯 나도 카메라만 갖다 대면 경련을 일으키는 버릇이 있다. () 지금은 죄책감 때문에 내 모습을 더욱 의식하게 되었다. 내가 서 있는 이곳은 누군가 근근이 생계를 이어가는 곳이다. 그런데 나는 호화로운 자동차를 타고 10분 동안 포즈를 취하면서 사진 몇 장을 찍고 떠난다. 거짓을 말하는 사진, 흥미를 유발하고 사람들을 속이기 위한 사진 말이다. 나는 내가 피상적이고 기생충 같은 존재임을 절실하게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