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서 온 편지 - 화석연료에 중독된 인류에게 보내는 경고
리처드 하인버그 지음, 송광섭.송기원 옮김 / 부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지난 4월 20일, 해상 석유 시추시설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로 하루 5,000 배럴(몇몇 전문가들은 하루 10만 배럴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한다)에 달하는 원유가 멕시코 만 바다 속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고 한다. 사고가 발생한 지 거의 한 달이 다 되도록 아직 구멍 뚫린 채취관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고, 그 사이 기름은 계속 바다 속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2007년 태안반도의 참혹함을 경험했던 우리로서는 이것이 얼마나 심각한 문제인지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왜 한 달이 다 되도록 채취관을 막지 못하는 것일까? 그것은 손상된 채취관이 심해 1,500미터 지점에 있기 때문이다. 천안함 사고로 인해 우리 국민이 알게 된 지식 중 하나는, 수심 40미터 정도만 되어도 인간이 직접 작업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니 바다 속 1,500미터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보수 작업이란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일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지난 7일에도 한 차례 보수를 위한 기술적 시도가 있었으나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실패했다고 한다. 실패 후 해당 석유회사의 최고경영자는 "심해에 대해 우리가 배워야 할 게 아직도 엄청나게 많다"며 "위험 상황과 실제로 맞닥뜨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는 결국 발생 가능한 위험 요인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적절한 대책도 마련하지 않은 채 심해 채굴을 시작했다는 고백일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성급한 석유 채굴이 진행되고 있는가? 이는 아마 이 책의 저자가 심각한 목소리로 경고하고 있는 ‘석유정점’(Peak Oil) 때문일 것이다. 석유정점이란 “세계의 석유 채취가 정점에 달하는 시기를 지적하는 용어”로, 저자에 따르면 “대부분의 정통한 분석가들은 이 시점이 20~30년 안에 닥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고 한다. 몇몇 보수적인 분석가들은 그 시기를 2010년으로 잡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어찌됐건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석유 생산이 감소하리라는 사실은 자명해 보인다.

석유 생산의 감소는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에너지의 석유 의존도가 45% 정도라고 한다. 다시 말해 우리 생활의 거의 절반이 석유를 활용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과 같은 생활방식이 유지된다면 석유가 고갈되었을 때 닥칠 불편이란 대단할 것이다. 일상적으로 전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될 것이다. 현존하는 운송 수단인 자동차, 배, 비행기 모두 석유를 사용하는 기기이므로 지역 혹은 국제간 무역은 파탄날 것이다. 석유 의존도가 높은 산업화된 농업이 타격을 입어 식량 위기가 심각해질 것이다. 더 나아가 이라크 전쟁과 같은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점점 희소해지는 석유자원을 쟁취하기 위한 국제적 분쟁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저자는 100년 후의 가상의 인물이 보내는 ‘미래에서 온 편지’에서 이 과정, 즉 석유 감소로 우리가 처하게 될 예측가능한 미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기후변화와 석유정점의 해결책은 대체에너지원의 발견이라는 대체 전략과 에너지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거나 에너지 없이 견디는 보존 전략 두 가지뿐이다.”(210)

물론 정점이 곧 고갈은 아니므로 석유가 완전히 고갈되기 전까지는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여길 수도 있다.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원을 개발하고 실용화할 시간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진행되어온 대체에너지원 개발을 떠올려 보자. 원자력은 체르노빌 사태로 알 수 있듯이 그 안전성에 대해 안심할 수 없다. 또한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된다고 해도 우라늄이라는 물질 역시 한정되어 있는 자원이라는 점에서 지속성을 보장할 수 없다. 태양에너지는 석유에 비해 에너지 효율성이 대단히 떨어져 보조수단은 될 수 있어도 대체제가 되긴 어려워 보인다. 곡물을 활용한 바이오디젤은 대규모 식량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다.

결국 현재 상황에서 파국으로 치닫지 않으면서 오랫동안 유지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거나 에너지 없이 견디는 보존 전략”, 즉 석유에 의존하지 않는 체제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 이것이 가능할까? 저자는 소련의 붕괴로 값싼 석유의 사용이 불가능해졌던 쿠바가 어떻게 위기를 극복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이것이 전혀 불가능한 일이 아님을 주장한다. 물론 지금과 같은 편리함은 다소 감소하겠지만, 농촌 문화의 부활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꾸준한 노력만이 우리 사회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해결책이라고 강조한다.

헬레나 노르베리-호지는 <오래된 미래>에서 라다크라는 마을을 통해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와 삶의 모습이 이미 과거에 있었음을 보여준 적이 있다. 그러나 또한 그러한 삶의 모습은 석유가 고갈됐을 때 우리가 어쩔 수 없이 살아가야 할 모습이기도 하다. 그 삶의 방식을 자발적으로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톡톡한 대가를 치루고 떠밀려 갈 것인가, 선택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