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읽고 있는 송경동 산문집. 


 시인은 이제껏 내가 풍문으로만 들었던 노동 운동과 꽃잎처럼 스러진 아까운 사람들의 사연을 전한다. 하고 싶은 말은 많은데 정제되지 못하고 미안한 맘 역시 많은데 그 맘 다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죄송스럽다. 책을 읽다 맘이 울컥했던 부분만 옮겨본다.


  절망은 이제 정말 지겹다고, 체념과 낙담도 이젠 싫다는, 그래서 신나게 놀고 오자는 날라리 희망버스를 지키기 위해, 나를 위해, 지금 누군가가 저 남도 끝에서 울부짓으며 '현대판 사제 용병'인 용역깡패들에 맞서 싸우고 있다.

  캠핑 가듯이 즐겁게 가자는 사람들의 마음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가진 건 연대의 마음뿐이라고, 힘이 되지 않는 시와 노래와 춤과 그림 뿐이라고, 그거라도 힘이 된다면 함께하자고, 가족들의 손을 잡고, 아이들의 손을 잡고, 연인의 손을 잡고 소풍 가기 전날처럼 마음이 설렌 착하고 순박하기만 한 사람들으르 위해 지금 자신의 절망만으로도 어깨가 무너지는 사람들이 눈물을 흘리며 싸우고 있다. 회의를 중단하고 트위터상에 쉬지 않고 올라오는 실시간 글들과 동영상과 사진들을 보며 모두의 눈이 충혈되고 말이 없다. 


 운동을 좀 더 재미있게 하면 안 될까, 식전에 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투쟁을 외칠까, 왜 그 모든 운동의 형태와 맘가짐이 그토록 치열할까. 노동 운동을 얕게나마 지켜본 내 시선이 그러했다. 이 책을 읽었다고 한순간에 내가 갖고 있던 생각들을 바꿀 수 있진 않겠지만 앞으로는 쉽게 예단하거나 섣부르게 내 생각을 말하진 않을 것 같다. 물론 노동 운동만이 중요하기 때문에 다른 사안은 부차적으로 생각한다는게 아니라 노동운동도 사람이 하는 일이라는걸 염두해두자는 것이다.


  그동안 수차례 의혹이 제기되었던 삼성반도체 공장의 위험을 알리는 책이 출간되었다. 반도체에게 최적의 환경인 클린룸이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최적일 수는 없었다. '삼성에서 일하다 직업병을 얻은 이는 138명에 이른다. 하지만 삼성은 이들의 병이 회사와 아무 관계가 없는 개인 질병이라고 주장한다. 근로복지공단 역시 직업병 피해자들의 산업재해 승인을 하지 않고 있다가 지난 4월 10일 처음으로 반도체공장 직업병에 대해 산재 승인을 했다.-알라딘 책소개 중-' 클린룸의 치명적인 위험만큼이나 놀라운건 개인은 물론 국가 기관조차 어찌할 수 없는 한 기업의 막강한 힘일 것이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055

 삼성측은 언론 관계에서 자신들을 '을'이라고 하지만 매체가 구독료보다 광고수입에 의존하는 현실에선 형식적인 말에 불과하지 않을까. 어느쪽이 진실인지 알 수 없을 뿐더러 관심도 없다. 다만 이 책을 더 많은 사람이 읽었으면 좋겠다. 소신있게 '여자 가슴' 발언을 일삼는 것 빼곤 다 좋은 허지웅 기자가 적극적으로 좋아한다고 밝힌 김수박의 만화다. '내가 살던 용산'과 '고래가 그랬어'에서 만화를 그린 김성희씨의 책도 나란히 출간됐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2-04-28 05: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 사람들이 조금씩 생각을 하며
어디에서 어떤 일을 하며 살아야 하나 하고
깨달으면 좋겠어요.

삼성 문제만이 아니잖아요.
현대이든 에스케이이든 대우이든 어디이든
다 마찬가지일 테지요.

중공업 공장이든 제철소이든 어디이든
언제나 똑같이 벌어지는 일이 되겠지요.

삼성도 삼성이지만,
삼성 말고도 수많은 공장에서는
사람들이 다 망가져요.

모두들 스스로 몸과 마음이 어떻게 되는가를
도무지 깨닫지 않아요...

Arch 2012-04-30 10:56   좋아요 0 | URL
저도 그런 걱정, 염려 가득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렇다고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건 아닌가란 생각도 들어요. 마찬가지로 지금처럼 지속할 수는 없다는 생각도 들고 말이죠.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이진 2012-04-29 0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치님 <꿈꾸는 자 잡혀간다> 읽고 계시구나.
저는 신간평가단 하면서 읽었는데 좋으면서도 괜히 읽었구나 했어요.
이 나이에 이런 걸 꼭 알고 느끼고 탄식해야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Arch 2012-04-30 11:12   좋아요 0 | URL
탄식까지? ^^ 저도 요새 그런 생각을 한적이 있어요.
조카들에게 내가 아이들이 원하는걸 다 해줄 수 없다는걸 어떻게 얘기해야하나, 신자유주의, 워킹푸어에 대해 말하려고 보자니 너무 웃기고 뭉퉁그려 그럴 수가 없다는걸 얘기하는 것도 답답하고. 그렇더라구요.